'갤럭시워치 측정 체성분 기능 정확도', 美대학 논문으로 입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루이지애나주립大 메디컬연구소·하와이大 암센터 공동연구 결과 발표
□ 체지방량, 골격근량, 기초대사율, 체수분량 등 총 6개 항목에서 최대 98%의 상관관계 기록
□ 美 의학 학회지 임상영양저널(AJCN)에 게재
□ 체지방량, 골격근량, 기초대사율, 체수분량 등 총 6개 항목에서 최대 98%의 상관관계 기록
□ 美 의학 학회지 임상영양저널(AJCN)에 게재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페닝턴 바이오메디컬 연구소(Pennington Biomedical Research Center)와 하와이대 암센터는 최근 발행한 '스마트 워치의 체성분 측정 정확도' 논문에서 '갤럭시 워치4'로 측정한 체성분 수치가 임상 기기 체성분측정표준장비(DXA) 및 생체 전기저항측정(BIA) 장비로 측정한 값과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두 대학은 만 23~55세의 남성 34명과 여성 41명 등 총 75명을 대상으로 갤럭시 워치4로 6개 항목의 체성분(체지방량, 체지방률, 제지방량, 골격근량, 기초대사율, 체수분량)을 측정한 뒤 이를 전문측정기기의 측정값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갤럭시 워치4와 전문측정기기로 측정한 체성분 수치의 상관 관계가 최저 93%, 최고 98%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가 워치를 착용한 후 두 손가락을 약 15초동안 측면 버튼에 대기만 하면 체성분 기능을 지원하는 '삼성 바이오액티브센서'가 총 2천400개의 데이터 포인트를 포착해 체지방량, 골격근량, 기초대사량 등을 측정한다.
지금까지 체성분 측정은 의료 기관, 클리닉 등에서 BIA 전문 장비를 사용해 측정할 수 있었으나 갤럭시 워치4와 워치5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손목에서 바로 체성분을 측정해 자신의 신체와 건강상태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삼성 헬스 앱을 통해 체중 감량, 근육량 증가 등 개인의 건강을 보다 세밀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스로 건강관리의 동기를 부여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