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인프라 "상장 통해 '글로벌 CRO 전문기업'으로 도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풍부한 프로젝트 수행 경험·검체 분석 자동화 시스템 개발로 성장
11월 16일~17일 수요예측…22일~23일 청약
11월 16일~17일 수요예측…22일~23일 청약

바이오인프라는 17일 여의도 63빌딩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장 후 계획과 비전을 발표했다.
바이오인프라는 의약품 연구개발 단계에서 개발사의 의뢰를 받아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CRO 전문기업으로 2007년 설립됐다. 회사는 제네릭 생동성시험과 개량신약 1상 임상 등의 임상 약동학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바이오인프라는 숙련된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에 적합한 시설을 운영하며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GCLP) 및 비임상시험실시기관(GLP)으로 지정된 기업이다. 회사는 자체 분석센터를 통해 다양한 임상·비임상시험의 요구에 최적화된 분석 서비스를 GCLP 및 GLP 가이드라인에 적합하게 제공하고 있다.
바이오인프라의 지난해 매출 306억원, 영업이익 75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55.8%, 105.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율은 24.2%다. 올해 상반기 누적 매출은 225억원, 영업이익은 48억원이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매출 연평균 성장률(CAGR)은 43.5%에 달한다.
회사는 공모를 통한 신규 투자 확대 및 사업 고도화로 성장을 이어가고 동시에 글로벌 CRO 전문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비전을 공개했다. 바이오인프라는 200건 이상의 검증된 분석법과 600건 이상의 생동성 시험 경험을 통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검체 분석 및 데이터 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2023년 완성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더불어 제네릭 의약품을 중심으로 제약 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아세안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생체시료분석을 위한 아세안 아카데미를 지난 3월 설립했으며 글로벌 1위 분석기기 제조사인 Waters와 기술 보급을 통해 해외 CRO 시장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는 목표다.
한편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인 바이오인프라의 총 공모주식 수는 100만주로 주당 공모 희망 밴드는 2만3000원~2만6000원이며 공모금액은 약 230억~260억원 규모다. 11월 16일~17일 양일 기관투자자 대상의 수요예측, 22일~23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연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며 주관사는 DB금융투자다.
차은지 한경닷컴 기자 cha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