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생 증가·코로나 학력격차 등이 '체감난도'에 영향 줄 듯 문·이과 통합 2년차로 17일 시행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불수능' '용암 수능'으로 불렸던 지난해보다는 최상위권 기준으로 다소 쉬워진 것으로 평가됐다.
다만 졸업생 응시자 비율이 높은 점, 올해 고3이 고교 3년을 모두 코로나19 시기에 보내 학력 격차가 우려된다는 점 등은 수험생 체감 난이도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출제위원장인 박윤봉 충남대 교수는 이날 출제경향 브리핑에서 "올해 2차례 시행된 모의평가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예년 출제기조를 유지하려고 했다"며 "작년부터 EBS 연계율 비중이 축소된 부분이 '불수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판단해 이번에는 '체감 연계도'를 올리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국어영역의 경우 표준점수가 역대 두번째로 높았을 정도로 난도가 심했던 지난해 수능보다는 다소 쉬워진 것으로 분석됐다.
국어영역의 지난해 표준점수 최고점은 149점이었지만 올해 9월 모의평가에서는 140점으로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국어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이 작년 수능보다는 9월 모의평가에 가까울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입상담교사단인 김창묵 서울 경신고 교사는 "최상위권에선 예년보다 난도가 다소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중상위권에서는 변별력이 예년과 비슷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학영역은 역시 어렵게 출제됐던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선에서 최상위권 변별력이 다소 낮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조만기 남양주 다산고 교사는 "올해 9월 모의고사와 비교하자면 유사하게, 작년 수능과 비교하면 유사하지만 일부 수험생 입장에서는 조금 쉽다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수학의 경우 지난해 수능 표준점수 최고점이 147점, 올해 9월 모의평가는 145점으로 두 차례 모두 변별력 있는 시험이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올해 수능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문·이과 구분 없이 통합수능으로 치러졌다.
국어·수학영역에서 학생들이 공통과목+선택과목을 함께 치르는 방식이다.
선택한 과목에 따라 받을 수 있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달라 유불리 논란이 있었는데 이런 현상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은 "이 문제(선택과목별 유불리 현상)를 완전히 해소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공통과목에 응시하는 점수를 활용해 선택과목 점수를 조정함으로써 유불리 문제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가장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되는 국어영역 기초대사량 관련 문제가 이과생에게 유리하게 작용했을 수 있다"며 "선택과목 간 점수 차는 작년보다 더 벌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수능에는 지난해보다 1천791명 줄어든 50만8천30명이 지원(원서접수자 기준)했다.
이중 졸업생과 검정고시생을 합한 비율이 31.1%로 1997학년도(33.9%) 이후 26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1교시 결시율은 10.8%로, 실제 응시자수는 45만477명으로 집계됐다.
평가원은 수능이 끝난 직후부터 21일까지 5일간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아 29일 정답을 확정 발표한다.
성적은 다음달 9일 통지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