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긴축 속도조절…한은, 다음주 '베이비스텝' 전망
한국은행이 오는 24일 금리 인상 폭을 줄여 '베이비 스텝'(0.2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연합뉴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은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24일 통화정책방향 결정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예상대로라면 한은 역사상 첫 여섯 차례 줄인상(4·5·7·8·10·11월)이다. 5%대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1%포인트(p)에 이르는 미국과의 금리 격차 탓에 사상 첫 6연속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하지만, 원·달러 환율이 안정된데다 채권 등 자금시장 경색 위험도 남아 있어 10월에 이은 연속 빅 스텝은 부담스럽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이례적 4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으로 최대 1.00%p까지 벌어진 한국(3.00%)과 미국(3.75∼4.00%)의 기준금리 차이도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다만 금리 인상 폭의 경우 0.25%p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우세했다.

최근 1,300원대 초중반까지 떨어진 원·달러 환율, 아직 불씨가 남아있는 채권시장 등의 자금·신용 경색 위험,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 갈수록 뚜렷해지는 경기 하강 추세 등이 베이비 스텝 전망의 주요 근거로 제시됐다.

이달 한은이 베이비 스텝에 머물면, 한국(3.25%)과 미국(3.75∼4.00%)의 기준금리 차이는 0.75%p로 좁혀진다. 하지만 12월 연준이 최소 빅 스텝만 밟아도 격차는 1.25%p로 다시 확대된다.

연준이 시장의 전망대로 내년 상반기까지 기준금리를 5% 이상으로 더 끌어올릴 경우, 한은도 비슷한 시점까지 금리를 계속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장민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은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지고, 최종 금리는 3.50∼3.75%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