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 몸집 경쟁 대신 디지털로 금융 판 뒤집을 것"
“경상도 사투리에 ‘디비지다(뒤집히다)’는 말이 있습니다. DGB가 금융을 ‘디비져’ 새로운 차원의 금융을 선보이겠습니다.”

대구은행과 하이투자증권 DGB생명 등 열 개 계열사를 거느린 DGB금융지주 김태오 회장(67·사진)은 2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디지털을 통해 지방에 기반을 둔 금융회사라는 한계를 벗어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1978년 외환은행에 입행한 김 회장은 하나은행 부행장과 하나HSBC생명 대표를 지냈고, 2018년 5월부터 DGB금융을 이끌고 있다.

유튜브·인스타로 MZ세대 공략

"DGB, 몸집 경쟁 대신 디지털로 금융 판 뒤집을 것"
김 회장은 지난해 지주사에 그룹 차원의 브랜드전략부를 신설했다. 미래 고객인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공략하기 위해선 젊은 브랜드 이미지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인력과 점포 등 몸집으론 4대 금융지주와의 경쟁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영향을 미쳤다. ‘디지비’(유튜브)와 ‘선 넘는 단똑우’(인스타그램)가 탄생한 배경이다.

디지비는 재테크를 콘텐츠 위주의 다른 금융사 유튜브와 달리 ‘외국인 사이 한국인 찾기’ 등 재미를 앞세워 구독자를 모으고 있다. DGB금융 캐릭터인 단디와 똑디 우디의 앞 글자를 각각 따서 만든 선 넘는 단똑우 역시 짧은 만화가 인기를 끌면서 팔로어가 1만 명을 넘어섰다. 김 회장은 “단기적인 수익에 집착하지 않고 DGB만의 브랜드를 키워나갈 것”이라며 “캐릭터 상품 개발과 드라마 등 외부 콘텐츠를 활용한 광고와 웹툰 제작도 구상 중”이라고 했다.

MZ세대를 겨냥한 DGB의 브랜드 마케팅은 고객 증가와 여·수신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모바일 뱅킹 앱 ‘IM뱅크’ 가입자를 포함해 올 상반기 대구은행 비대면 고객 수는 135만2331명으로 작년 동기보다 21.4% 늘었다. 같은 기간 비대면 원화대출(9233억원→1조855억원)과 원화예수금(2조564억원→2조4342억원)도 각각 17.6%, 18.4% 증가했다.

금융은 ‘신뢰’…리스크 관리 중점

김 회장 취임 당시 65조원이던 DGB금융 자산은 올해 3분기 94조원으로 100조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작년엔 지주 출범 10년 만에 역대 최대 순익(5031억원)도 달성했다. 하지만 2금융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가 커지면서 증권·캐피털사를 계열사로 둔 금융지주의 건전성 우려가 나오고 있다. 김 회장은 “대구은행과 DGB캐피탈의 부동산 PF 대부분이 선순위 대출로 안전한 편”이라며 “하이투자증권이 취급한 브리지론(사업인가 전 대출)은 사업장별로 리스크 관리를 철저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경영 목표도 건전성 관리에 방점을 찍었다. 통화 긴축 여파로 경기 전망이 어두운 만큼 고객 돈을 최대한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김 회장은 “금융사의 자금은 고객이 피땀 흘려 번 돈”이라며 “과거 금융사들이 무리하게 수익을 좇다가 불완전판매 사태 등이 발생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DGB금융은 앞으로도 건전성과 성장성이 균형을 이루는 ‘적정 성장’을 추구하겠다”고 했다.

김 회장은 차기 최고경영자(CEO) 양성에도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 2019년 대구은행장 선임 육성·승계 프로그램을 도입한 게 대표적이다. 2년 가까이 어학능력 개발과 현장 직무교육(OJT), 전문가와의 1 대 1 멘토링 등 과정을 거쳐 임성훈 행장이 2020년 10월 대구은행장에 취임했다. 아직 4대 시중은행도 은행장 선임 때 도입하지 못한 방식이다. 그는 “계열사 CEO 인사에 지주 회장이 개입하지 않는 객관적인 검증 시스템을 도입했다”며 “능력 있는 후계자를 키워 경영권을 잘 넘겨주는 게 금융지주 회장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