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과 기획재정부가 21일 올해 종합부동산세 대상자 130만7000명에게 납부액 총 7조5000억원 규모의 고지서를 발송했다. 이날 한 종부세 납부 대상자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출력한 종부세 고지 내역을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세청과 기획재정부가 21일 올해 종합부동산세 대상자 130만7000명에게 납부액 총 7조5000억원 규모의 고지서를 발송했다. 이날 한 종부세 납부 대상자가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출력한 종부세 고지 내역을 확인하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자가 130만 명을 넘었다. 집값이 떨어지고 있지만 종부세 대상자는 1년 전(102만7000명)보다 27% 늘었고, 문재인 정부 첫해인 2017년보다는 세 배 넘게 증가했다. ‘부동산시장을 잡겠다’며 부동산세와 공시가를 마구 올린 지난 정부의 ‘부동산 정치화’가 국민의 세 부담을 키웠다는 비판이 나온다.

‘중상위층 세금’ 된 종부세

부동산 빙하기에…서울 집주인 4명 중 1명 종부세 낸다
국세청과 기획재정부는 21일 올해 종부세 대상자 130만7000명에게 총 7조5000억원을 납부하라는 고지서를 발송했다. 이 중 주택분은 122만 명에 4조1000억원, 토지분은 11만5000명에 3조4000억원이다. 주택분과 토지분을 모두 내는 사람은 2만8000명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첫해 40만 명이던 종부세 대상자는 매년 늘어 올해 130만7000명에 달했다. 종부세로 부과한 세금은 2017년 1조8000억원에서 올해 7조5000억원으로 네 배 이상 많다. 주택분 납세 대상자는 이 기간 33만2000명에서 122만 명으로 급증했다. 주택분 종부세 납부자는 2017년만 해도 전체 주택 보유자의 2.4%에 그쳤지만 올해는 8.1%로 늘어났다. 서울만 놓고 보면 주택 소유자(260만2000명)의 22.4%에 달하는 58만4000명이 종부세를 내야 한다. 도입 초기 ‘부자 세금’이던 종부세가 이제는 ‘중상위층 세금’으로 바뀐 것이다.

종부세를 내는 1가구 1주택자도 작년 15만3000명에서 올해 23만 명으로 50.3% 늘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1가구 1주택자에게 3억원을 추가 공제(기본공제 11억원→14억원 확대)해 과세 대상을 9만3000명 줄이려고 했지만 더불어민주당 반대로 무산됐다. 다만 1가구 1주택자 1인당 평균 세액은 108만6000원으로 작년보다 44만3000원 감소했다. 이는 종부세 과세표준을 정할 때 공시지가에 곱하는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정부가 100%에서 60%로 내렸기 때문이다.

올해 평균세액이 줄어든 것과 별개로 세 부담이 여전히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에 따르면 공시가 16억5500만원인 서울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114㎡)의 올해 예상 종부세는 151만원으로 작년 187만원보다 19.2% 줄어들지만 2020년 96만원보다는 57.2% 늘어난다. 공시가 14억2500만원인 성동구 래미안옥수리버젠(84㎡)의 종부세는 2020년 31만원에서 지난해 59만원으로 오른 데 이어 올해는 84만원으로 늘어난다. 올해 공시가가 대폭 상승한 결과다.

실거래가가 공시가 이하로 하락하면서 납세자 불만도 커지고 있다. 서울 서초구 아파트에 사는 A씨의 종부세는 작년 138만원에서 올해 163만원으로 18.1% 늘었다. A씨는 “지금 집값이 떨어지고 있는데 세금이 증가했다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했다.

‘종부세 감세’ 국회에서 논란

기재부에 따르면 과세표준 12억원 이하(공시가격 약 26억원 이하) 구간에 있는 납세자는 총 112만 명으로 전체 고지 인원의 97.7%다. 정부는 종부세 감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주택분 종부세 기본공제액을 내년부터 6억원에서 9억원(1가구 1주택자는 11억원→12억원)으로 높이고, 다주택자 중과세율을 폐지하는 종부세법 개정안을 국회에 낸 상태”라며 “세제가 개편되면 주택분 종부세 과세 인원이 55만4000명가량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다주택자에 대한 징벌적 중과는 부동산이 폭등할 때 추진했던 것”이라며 “주택가격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는 다시 정상화돼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민주당은 종부세 감세에 부정적이다.

국세청이 이날 발송한 종부세 고지서는 홈택스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