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 "배달음식 영양성분 표시 확대…소비자 건강증진 힘쓸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20년 국민 비만율 역대 최고
"코로나로 배달음식 섭취 늘고
'먹방' 콘텐츠 인기 등 영향"
자율적 영양정보 제공률 낮아
한식·치킨업종, 1% 정도에 불과
"건강한 식생활 환경개선 노력"
외식·프랜차이즈협회 간담회
배달음식도 소비자 건강 중시
영양정보 제공 확대 등 합의
"코로나로 배달음식 섭취 늘고
'먹방' 콘텐츠 인기 등 영향"
자율적 영양정보 제공률 낮아
한식·치킨업종, 1% 정도에 불과
"건강한 식생활 환경개선 노력"
외식·프랜차이즈협회 간담회
배달음식도 소비자 건강 중시
영양정보 제공 확대 등 합의
코로나19를 거치며 음식을 배달해 먹는 것이 일상이 됐다. 커피 한 잔도 배달해 먹는 시대다. 동시에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부쩍 높아졌다. 균형 잡힌 식생활을 추구하는 소비자는 보다 건강한 배달음식을 선택하기 위해 영양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외식업계의 정보 제공 노력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은 다중시설 및 프랜차이즈 음식점의 영양정보 제공 현황을 파악하고 소비자의 영양 표시 요구에 외식업계가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고속도로 휴게소도 대부분 매장이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반면 공항과 대형마트의 푸드코트 등에서는 영양정보 제공률이 매우 낮았다.
프랜차이즈 외식 브랜드의 가맹본부 홈페이지상에서 영양성분 표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음료(커피 외) 업종의 4.4%가 영양정보 제공 의무가 없는 식품군임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올려놓고 있었다. 반대로 한식 업종은 브랜드 수는 많지만, 홈페이지 내에 영양정보를 자율적으로 제공하는 브랜드가 0.1%에 불과했다. 치킨 업종은 1.4%만 영양정보를 자율 제공하고 있었다.
“필요 없다”는 응답은 6.5%에 불과했다. 영양성분 표시가 필요한 이유(복수 응답 허용)는 “건강한 식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66.1%), “자율영양표시 제도가 메뉴 선정에 도움이 되기 때문”(49.7%) 등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주로 확인하는 영양표시 항목으로는 열량이 48.2%로 가장 많았고, 나트륨(35.3%), 지방(31.9%), 단백질(29.6%), 탄수화물(2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공되는 음식에 대한 영양정보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23.4%,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1.3%로 나타났다.
자율영양표시 제도 확대가 필요한 외식 업종으로는 33.4%의 응답자가 한식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중식(21.5%), 치킨(12.9%), 분식(7.3%) 등의 업종이 나열됐다.
개선된 영양성분표시 정보에 대해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반응을 조사한 결과 두 회사는 호감 정도, 이해 정도, 정보 확인 정도, 정보 신뢰도, 시각적 호감도, 설명의 충분성, 구매 영향 정도, 디자인 적합도 등의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시각적 호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국, 영국 등은 대형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열량 등 영양정보 제공을 의무화했다. 일본, 호주 등에서는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도 영양정보 자율제공이 비교적 잘 운영되는 상황이다.
식약처는 2024년 상반기까지 가맹점 수 1000개 이상의 치킨업체 모두 가맹본부 홈페이지에 영양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자율영양 표시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온라인 영양정보 표시 지침과 교육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치킨 프랜차이즈업계는 메뉴별로 열량, 나트륨, 당류 등 소비자가 알기 원하는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대두, 새우 등 22종의 알레르기 성분 포함 여부를 가맹본부 홈페이지와 배달 앱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자율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이제는 배달음식이 맛과 편리함을 넘어 소비자의 건강까지 생각하는 전환이 필요한 시기”라며 “정부와 업계가 함께 노력해 소비자가 보다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는 개선된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하지만 외식업계의 정보 제공 노력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은 다중시설 및 프랜차이즈 음식점의 영양정보 제공 현황을 파악하고 소비자의 영양 표시 요구에 외식업계가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미흡한 영양정보 자율 제공
23일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국민의 자극적인 배달음식 섭취가 늘고 먹방(먹는 방송)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끌면서 비만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만 19세 이상 국민 가운데 비만한 사람의 비율을 의미하는 비만율은 2020년 38.3%로 집계됐다. 1998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뢰를 받아 다중시설 및 프랜차이즈 음식점 영양정보 제공 현황을 조사한 결과 햄버거, 피자, 과자류, 빵류, 아이스크림 등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 음식점에서는 영양정보 제공 의무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가맹점포 수 50개 이상)의 브랜드 가맹본부가 소비자에게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영양정보 제공 의무가 없는 다중시설 및 프랜차이즈 외식 브랜드 중 영화관과 백화점은 모든 매장에서 영양정보를 자율적으로 제공했다.고속도로 휴게소도 대부분 매장이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반면 공항과 대형마트의 푸드코트 등에서는 영양정보 제공률이 매우 낮았다.
프랜차이즈 외식 브랜드의 가맹본부 홈페이지상에서 영양성분 표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음료(커피 외) 업종의 4.4%가 영양정보 제공 의무가 없는 식품군임에도 불구하고 정보를 올려놓고 있었다. 반대로 한식 업종은 브랜드 수는 많지만, 홈페이지 내에 영양정보를 자율적으로 제공하는 브랜드가 0.1%에 불과했다. 치킨 업종은 1.4%만 영양정보를 자율 제공하고 있었다.
○커지는 자율영양표시 필요성 요구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은 비대면 외식 소비 시장의 빠른 성장에 비해 고객의 위생과 건강한 소비생활 증진을 위한 서비스 개선은 미흡한 실정이라고 판단했다. 소비자들은 주로 배달 앱을 통해 음식을 주문하는데, 현재 소비자가 접할 수 있는 정보는 음식 사진, 가격, 평점이나 후기 등과 같은 판매자 중심의 정보이기 때문이다. 음식점의 위생 상태, 원재료 함량, 영양성분과 같은 정보들은 거의 제공되지 않는 실정이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메뉴 선택 시 영양성분, 열량 등과 같은 영양정보를 고려하기를 원하는 요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이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음식점 자율영양표시 제도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62.1%로 압도적으로 많았다.“필요 없다”는 응답은 6.5%에 불과했다. 영양성분 표시가 필요한 이유(복수 응답 허용)는 “건강한 식생활에 도움이 되기 때문”(66.1%), “자율영양표시 제도가 메뉴 선정에 도움이 되기 때문”(49.7%) 등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주로 확인하는 영양표시 항목으로는 열량이 48.2%로 가장 많았고, 나트륨(35.3%), 지방(31.9%), 단백질(29.6%), 탄수화물(28.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공되는 음식에 대한 영양정보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23.4%,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1.3%로 나타났다.
자율영양표시 제도 확대가 필요한 외식 업종으로는 33.4%의 응답자가 한식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중식(21.5%), 치킨(12.9%), 분식(7.3%) 등의 업종이 나열됐다.
○영양성분 표시 디자인 개선
이런 가운데 치킨업체 아주커와 꾸부라꼬 숯불 두마리 치킨은 식약처의 치킨 외식업체 영양성분표시 개선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영양성분 표시를 소비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개선했다. 이 회사들은 메뉴별 영양성분을 흰 배경에 검은 글씨로 기록함으로써 가독성을 높였다. 1일 영양성분 기준치에 대한 비율이 포함된 영양성분과 알레르기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개선된 영양성분표시 정보에 대해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반응을 조사한 결과 두 회사는 호감 정도, 이해 정도, 정보 확인 정도, 정보 신뢰도, 시각적 호감도, 설명의 충분성, 구매 영향 정도, 디자인 적합도 등의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시각적 호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정보 제공 확대 노력하기로
지난 18일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와 12개 치킨 프랜차이즈업체 대표들은 서울 중구 세종호텔에서 간담회를 열고 식약처와 함께 국민의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소비자의 선택권을 강화하고, 국민이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영양정보 자율제공 노력을 배가하겠다는 게 주요 합의 내용이었다.미국, 영국 등은 대형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열량 등 영양정보 제공을 의무화했다. 일본, 호주 등에서는 외식 프랜차이즈 매장에서도 영양정보 자율제공이 비교적 잘 운영되는 상황이다.
식약처는 2024년 상반기까지 가맹점 수 1000개 이상의 치킨업체 모두 가맹본부 홈페이지에 영양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자율영양 표시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온라인 영양정보 표시 지침과 교육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치킨 프랜차이즈업계는 메뉴별로 열량, 나트륨, 당류 등 소비자가 알기 원하는 영양정보를 제공하고 대두, 새우 등 22종의 알레르기 성분 포함 여부를 가맹본부 홈페이지와 배달 앱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자율적으로 알릴 예정이다. 프랜차이즈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이제는 배달음식이 맛과 편리함을 넘어 소비자의 건강까지 생각하는 전환이 필요한 시기”라며 “정부와 업계가 함께 노력해 소비자가 보다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는 개선된 환경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