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널리스트도 '자기검열'…"금융허브 지위 약화·인재 유출 우려"
"中 '철권'에 입 닫는 홍콩 증권가…투자정보 불투명성 심화"
중국의 '시진핑 1인체제'가 확고해지고 중국 당국의 홍콩 장악이 날로 강화되면서 홍콩 금융시장마저 급속히 '침묵모드'로 빠져들고 있다.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시행 등으로 불이익을 우려하는 애널리스트 등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중국에 부정적인 평가를 내놓기를 꺼리면서, 투자정보의 불투명성이 심해지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3일 진단했다.

블룸버그가 홍콩에 주재하거나 관련 업무를 하는 애널리스트와 펀드매니저 등 금융시장 관계자 30여 명을 인터뷰한 결과 투자업계의 자기검열, '입조심'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중국에 대한 가벼운 비판으로도 자신들이 징계나 해고는 물론 사법처리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안고 있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그동안 해외 투자자들은 중화권 경제 상황에 대해 좀 더 솔직한 의견을 듣기 위해 홍콩 소재 애널리스트들을 주시했는데, 이제 리포트 발표 시기가 느려지거나 표현이 모호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유기업에 대한 논의는 국가 기밀을 포함할 수 있는 만큼 더욱 꺼려지고 있으며, 애널리스트 가운데는 보고서를 공식 발표하기보다 이메일을 통해 공유하며 유통을 최소화하려는 경향도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런 경향은 중국 정부가 지난해 공동부유를 내세워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부동산·교육업계 등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나서면서 더욱 심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장에서 루머에 의한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데, 실제 지난달 '시진핑 3기' 출범 당시 급락했던 중화권 증시는 당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의 점진적 완화를 준비 중이라는 미확인 소문에 이달 초 수일간 급등하기도 했다.

중국 본토에서는 지난달 중국공산당 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를 앞두고 시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리포트를 발표하지 말도록 규제 당국이 '창구지도'를 하는 등 당국이 홍콩보다 더 노골적으로 개입하는 상황이다.

자유로운 정보의 흐름이 망가지면서 투자자들은 정보를 얻기 위해 점점 개인적 대화·인맥에 의존하고 있다.

중화권의 대표적 메신저인 위챗을 통해 소통할 경우 인공지능(AI)이 민감한 특정 단어를 포착하는 방식으로 검열을 한다는 의혹이 있는 만큼 검열을 피하려고 '코로나19'를 '공중보건사건'으로 돌려 표현하기도 한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검열을 피하기 위해 대포폰을 포함해 휴대전화를 3개씩 갖고 다니는 경우도 흔하다고 말했다.

홍콩대의 앤드루 싱클레어 교수는 "정보 격차로 (인적) 관계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면서 이러한 경향이 지속될 경우 인적 관계가 없는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정보 접근 상의 불이익을 우려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금융중심지로서 홍콩의 위상이 위태로워지고 인재 유출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나쁜 뉴스가 시장에서 논의될 수 없다면, 그 시장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이 떨어질 것"이라고 우려했고, 드러누워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는 뜻의 중국 유행어인 '탕핑(躺平)' 분위기가 홍콩 투자업계에 만연하다는 견해도 나왔다.

다만 홍콩 정부 관계자는 "법을 지키는 사람들은 부지불식간에 홍콩보안법을 어기지 않을 것"이라면서 "홍콩보안법으로 안정이 회복되고 금융이 중국으로 통합되면서 투자자들이 홍콩시장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반응을 내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