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오는 30일 베이지북이 나온다. Fed의 12개 지역연방은행들이 집계하는 현재의 경기 평가 보고서다. 경기가 특별히 나쁘지 않은 것으로 나오면 Fed 긴축을 강화하는 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같은 날 제롬 파월 Fed 의장은 브루킹스연구소 초청 행사에서 공개 발언에 나선다.
그 다음날인 12월 1일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가 발표된다. 10월 물가 기준이다. 9월 기준 PCE 인플레이션은 작년 동기 대비 6.2% 상승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물가는 5.1% 뛰었다.
2일엔 11월 기준의 비농업 일자리 수 및 실업률이 나온다. 10월 일자리 수는 26만1000개 늘었다. 실업률은 3.7%였다. 고용 시장이 느슨해지는 징후가 확인되지 않으면 Fed의 정책 전환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란 우려가 커질 수 있다. 다음주에 쏟아질 Fed 위원들의 발언도 증시 변동성을 키울 전망이다. 12월 14일로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선 기준금리를 50bp(1bp=0.01%포인트) 올릴 가능성이 크다. Fed 위원들의 발언을 통해 내년 상반기의 금리 흐름을 예견해볼 수 있다.
3분기 실적을 내놓는 기업 중 주목할 만한 곳으로는 세일즈포스 스노플레이크 크로거 호멜푸드 달러제너럴 등이 있다.
<다음주 예정된 주요 경제지표·일정>
28일(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Fed 총재 인터뷰 / 실적 발표 : 핀둬둬
29일(화) 콘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11월, 직전 102.5) / S&P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9월, 직전 -9.8%) / 실적 발표 : HP엔터프라이즈 이항홀딩스 비리비리
30일(수) 베이지북(오후 2시) / 제롬 파월 연설(오후 1시30분) / 구인·이직 보고서(10월, 직전 채용 공고 1070만 개) / 시카고 제조업 PMI(11월, 직전 45.2) / ADP 민간고용 보고서(11월, 직전 23만9000명) / 3분기 성장률 수정치(예비치 2.6%) / 실적 발표 : 세일즈포스 스노플레이크 호멜푸드 파이브빌로우 스미스&웨슨 RBC 엑스펑
12월1일(목) 개인소비지출(PCE) 물가(10월, 직전 6.2%) / ISM 제조업지수(11월, 직전 50.2%) / 신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 실적 발표 : 크로거 달러제너럴 얼타뷰티 빅랏츠 어사나
2일(금) 비농업 일자리 수(11월, 직전 26만1000개) / 실업률(11월, 직전 3.7%) / 노동 참여율(11월, 직전 82.5%)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