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4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리면서 가계대출 이자 부담은 1년 새 38조원 가까이 불어날 전망이다. 연 8%에 육박한 은행 가계 대출금리 상단도 올해 연 9%에 이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은의 가계부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756조8000억원(카드 대금 제외)에 달한다. 여기에 같은 달 기준금리에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78.5%)을 적용하면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경우 전체 대출자의 이자는 약 3조4477억원 늘어난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월 이후 연 0.5%에서 연 3.25%로 2.75%포인트나 뛰었다. 이에 따라 약 1년간 증가한 이자만 38조원으로 추산된다. 한은은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가계대출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이 16만4000원씩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했다. 1년간 기준금리 2.75%포인트 인상에 따른 1인당 이자 부담 증가액은 180만원에 이른다.

자영업자를 비롯한 기업들의 이자 부담도 커진다.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르면 기업들의 대출이자 부담은 약 2조원 늘어나는 것으로 대한상공회의소는 추산했다. 빚을 감당하기 어려운 다중채무자와 영세 자영업자, 한계기업(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를 갚지 못하는 기업)이 늘어나면 금융권의 건전성 위기로도 번질 수 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은행 예·적금에 돈이 몰리는 ‘역(逆) 머니무브’ 현상도 가속화할 전망이다. 올 상반기 연 2%에 그쳤던 은행권 평균 예금금리는 지난달 연 4%를 넘어섰다. 이달 들어선 연 5% 예금상품도 쏟아지고 있다. 10월 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931조6000억원으로 한 달 새 56조2000억원 불었다. 역대 최대 증가 폭이다.

다만 은행권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분을 즉각 예금금리에 반영하는 데엔 조심스러운 분위기다. 금융당국이 이달 들어 은행들에 예·적금 금리 인상 경쟁을 자제해달라고 권고해서다. 예금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를 더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데다 시중 자금이 은행으로 쏠려 자금시장의 ‘돈맥경화’ 현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