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무기 수요증가 전망에 앞다퉈 생산 확대…주가도 급등"

우크라이나전쟁 장기화로 무기 수요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세계 방산업체들이 앞다퉈 생산 능력 증대에 나서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크라전 장기화에 세계 방산업계 생산능력 확대 박차
WSJ은 무기 생산업체들의 생산증대 움직임은 유럽에서 가장 두드러지지만 미국과 한국 등 다른 지역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방산업체들의 주가도 급등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럽 최대 무기·군수품 생산업체 중 하나인 독일 라인메탈은 미국 사모펀드 론그룹(Rhone Group)과 함께 스페인의 경쟁업체 엑스팔 시스템스를 12억 유로에 인수하는 등 생산능력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아르민 파퍼가 라인메탈 최고경영자(CEO)는 내년에 주요 신규 계약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고객들은 생산능력이 있는 업체에 계약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라인메탈은 이미 연간 생산능력을 탱크용 포탄은 7만 발에서 14만 발로, 다른 포탄은 7만 발에서 11만 발로, 중구경 총알은 120만 발에서 220만 발로, 군용 트럭은 2천500대에서 4천 대로 늘렸다.

최근 수년간 유럽과 러시아 간 긴장이 고조 속에 생산능력을 늘려온 스웨덴 방산업체 사브(Saab)도 최근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카엘 요한손 사브 CEO는 직원 500명을 늘린 데 더해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생산 신기술에도 투자하고 있다며 작업 현장 노동자들의 교대 수를 늘려 생산능력을 더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전 장기화에 세계 방산업계 생산능력 확대 박차
미국과 아시아 방산업체도 미국의 우크라이나 지원 확대에 즉각 반응하고 있다.

미국 국방부는 170억 달러 상당의 무기·서비스는 대부분 비축분에서 지원할 예정이지만 국내 및 우방국 비축분 보충을 위해 34억 달러의 신규 계약도 체결했다.

미국 업체들은 사실상 생산이 중단됐던 견착식 스팅어 대공미사일 등의 수요가 급증하자 급하게 해법 찾기에 나섰다.

레이시온 테크놀로지는 2008년부터 주문이 없어 계속 줄여온 스팅어 미사일 생산을 늘리기 위해 구형 스팅어 미사일의 부품을 재사용하고 은퇴자들을 다시 고용하고 있다.

록히드마틴은 레이시온과 함께 생산하는 재블린 대전차마사일 생산을 두 배로 늘리고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와 중거리 유도 다연장 로켓 시스템(GMLRS) 생산도 60% 확대했다.

우크라전 장기화에 세계 방산업계 생산능력 확대 박차
WSJ는 아시아에서도 한국 방산업체가 한국과 미국 정부 간 비밀 무기 거래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포탄을 생산, 판매할 계획이라는 지난 10일 자사 보도를 재차 거론했다.

이와 관련, 당시 한국 국방부는 최종 사용자가 미국이라는 조건을 달아 아직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살상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제공하지 않는다는 방침은 그대로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방산업체들의 생산 증대 움직임은 우크라이나전쟁이 아니더라도 러시아와의 긴장 관계에 따라 유럽 국가들의 무기 수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과도 맞닿아 있다.

독일은 러시아의 침공 개시 후 1천억 유로의 방위기금을 조성했고, 그동안 지켜지지 않고 있던 국내총생산(GDP) 2% 국방비 지출 목표 달성에도 나설 것이라고 약속했다.

폴란드는 현재 GDP 2.1%인 국방예산을 내년에는 3%로 늘리기로 했으며 리투아니아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의 국방예산도 GDP 2.5%에 근접하고 있다.

무기 수요 증가에 따른 생산 확대가 이어지면서 방산업체들의 주가도 상승하고 있다.

독일 라인메탈의 주가는 1월보다 115% 상승했고, 스웨덴 사브와 영국 BAE 시스템스는 각각 30%와 44%, 록히드마틴은 36% 올랐다.

아르민 파퍼가 라인메탈 CEO는 "향후 10~15년간 유럽 전체 안보를 위한 투자 프로그램들이 있을 것이라는 아주 아주 분명한 신호가 있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