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독주' 제동 걸린 美증시…"내년엔 中·인도 뜬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over Story - 2023년 눈여겨볼 투자국은
美 강세장 이끌던 'FAANG' 추락
메타, 올 들어 70% 가까이 떨어져
달러 강세 둔화·中 방역완화 기대
제조업 강국 투자 기회 노려볼만
구이저우마오타이주 등 中 리오프닝株
'원자재 수혜' 인도네시아도 유망
美 강세장 이끌던 'FAANG' 추락
메타, 올 들어 70% 가까이 떨어져
달러 강세 둔화·中 방역완화 기대
제조업 강국 투자 기회 노려볼만
구이저우마오타이주 등 中 리오프닝株
'원자재 수혜' 인도네시아도 유망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99.17740824.1.jpg)
![그래픽=김선우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211/AA.31944923.1.jpg)
FAANG 지고 제조업 살아날까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미국 경기 침체로 내년 S&P500지수가 현재 수준인 4000대에서 더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모건스탠리는 3000대 초반을, UBS는 3200에서 바닥을 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반등하더라도 현재 수준인 4000이 상단일 것이라고 내다봤다.신한투자증권은 내년에도 미국에서 전통산업이 비교적 강세를 보인다면 원자재, 중간재를 미국으로 수출하는 다른 국가들의 증시가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제조업발(發) ‘낙수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예상이다. 주요국 통화 대비 달러 강세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가 9월 말 112.08에서 지난 23일 105.9까지 내려온 것도 미국 외 국가들에 호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성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가 지난 12년간 다른 국가를 압도한 것은 테크·플랫폼이 호황을 누리면서 성장 수혜를 미국 기업만 누렸기 때문”이라며 “중국이 방역 조치 완화와 부동산 경기 부양을 해낸다면 글로벌 상품 수요가 회복하고, 다른 국가들의 제조업 경기도 살아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승민 삼성증권 글로벌투자전략팀장은 “달러 강세가 내년까지 점차 완화된다면 저평가받아온 신흥국과 유럽 등으로 투자 자금이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며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지 않는다면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원자재 강국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중국·인니·인도 등 주목해야
전문가들은 달러 강세로 저평가받은 중국 한국 대만 등 아시아 국가가 수혜를 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의 대체재로 떠오른 인도나 원자재 수혜를 볼 인도네시아 등도 투자처로 고려해볼 만하다는 조언이다.KB증권은 방역 완화로 인한 중국 리오프닝주, 경기부양 수혜주를 주목하라고 강조했다. 중국 대표 주류업체인 구이저우마오타이주와 중국 면세점 대장주인 중국중몐을 리오프닝 수혜주로 제안했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국토 균형발전 프로젝트 ‘동수서산(東數西算)’ 수혜주로는 광케이블 업체인 장쑤헝퉁광전자, 스타파워반도체 등이 꼽혔다. 최근 중국당국이 방역 완화 지침을 밝힌 이후 MSCI 중국지수의 시가총액이 기존 대비 3700억달러가량 불어나는 등 외국인 자금이 돌아오는 것도 호재라는 설명이다.
강효주 KB증권 연구원은 “동수서산 프로젝트는 가장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 있는 경기부양책으로 대대적 자원이 투자될 전망”이라며 “중국 내 시가총액 1위 기업인 구이저우마오타이주는 외국인 자금의 귀환과 함께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