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태형의 현장노트] 獨 450년 전통의 두터운 소리에 틸레만 개성 더한 '브람스 사이클'
브람스의 교향곡 1번 c단조 4악장. 약 5분의 장대하고 느린 서주가 호른과 트롬본의 C장조 ‘레미레~’로 잦아드는 순간, 지휘자 크리스티안 틸레만(63)의 지휘봉이 멈췄다. 3~4초간 정적이 흐른 뒤 제1 바이올린이 저음으로 ‘환희의 주제’를 연주하며 제시부가 시작됐다.

지난 28일 서울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 독일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의 내한공연(사진) 첫날 현장. 2부에 연주된 브람스 1번 4악장에서 이날 포디엄에 선 틸레만 특유의 개성과 스타일이 가장 명확하게 드러났다. 틸레만은 쉼표 없이 연결되는 서주와 제시부 사이에 마치 ‘브루크너 휴지(休止)’처럼 쉼을 둬 주제의 변환이 주는 극적 효과를 도드라지게 했다. 서주의 피치카토(현을 손끝으로 튕겨 연주)에선 온몸을 사용해 셈여림을 표현했고, 유려한 양손 동작으로 능수능란하게 완급을 조절해 가며 ‘승리의 피날레’를 폭발적으로 이끌었다. 브람스 교향곡 전곡(1~4번) 중 가장 극적인 악장의 서사를 다채롭고 역동적으로 연출했다.

베를린 슈타츠카펠레 첫 내한

이번 내한공연은 지휘자와 오케스트라, 레퍼토리 등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450여 년의 역사를 지닌 독일 명문 악단의 첫 방한이었고, 원래 이 악단의 음악감독을 30년째 맡고 있는 거장 다니엘 바렌보임(80)이 직접 이끌고 오기로 했었다. 연주곡은 브람스 교향곡 전곡. 해외 명문 오케스트라가 내한공연에서 한 작곡가의 교향곡을 모두 들려주는 ‘사이클’은 2015년 3월 이반 피셔 지휘로 이뤄진 네덜란드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RCO)의 베토벤 전곡 이후 처음이었다.

바렌보임이 중도에 건강상 이유로 하차하고, 틸레만이 대체 지휘자로 낙점됐지만 기대는 크게 사그라지지 않았다. 바그너와 브루크너, 리하트르 슈트라우스 등 독일 레퍼토리에 정통한 틸레만이 브람스는 어떻게 해석해 들려줄지 관심이 쏠렸다. 레퍼토리도 첫날 공연에서 연주 효과가 큰 1번을 2부로 돌리고, 2번을 먼저 연주한 것 빼고는 그대로였다.

거칠지만 활력 넘치는 브람스

틸레만도 한때 몸이 편치 않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이날 연주는 이런 우려를 불식하기에 충분했다. 처음부터 끝까지 특유의 열정과 파워 넘치는 지휘로 악단을 이끌었다. 전날 공개 리허설에서 틸레만과 악장 이지윤이 밝힌 대로 베를린 슈타츠카펠레의 사운드는 어둡고 두터운 편이었다. 틸레만은 전반적으로 이 사운드를 빠르게 이끌었고, 리듬과 템포의 변화 폭을 크게 가지고 갔다. 2번 4악장 등에서는 대단한 박력으로 악단을 휘몰아쳤고, 단원들은 균형을 잃지 않고 사운드를 유지하며 따라가는 능력을 보여줬다.

관악에서 초반부터 잔 실수가 이어지고, 1번 2악장 후반부의 악장 바이올린 솔로를 호른의 저음이 잘 받쳐주지 못하는 등 세세한 앙상블이 조금씩 흔들린 점은 아쉬웠다. 현악과 관악 파트 간 합이 조금씩 어긋나기도 했는데 이를 지휘자가 의도한 것이라면 호불호가 엇갈릴 대목이다. 전체적으로는 비단결처럼 매끄럽기보다 다소 거칠지만 활력이 넘치는 브람스를 들려줬다.

틸레만과 베를린 슈타츠카펠레는 30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브람스 3번과 4번을 연주한다. 1번, 2번과는 색채와 성격이 다른 두 작품에선 어떤 브람스를 보여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