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PRO] "경기민감주 보다는 대형 기술주 투자 매력이 더 높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마켓리더의 시각
유동원 유안타증권 글로벌자산배분 본부장
최근 2023년 미국 경기침체에 대한 가능성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1968년 통계 이후 최고 높은 가능성을 예측 기간들이 예견하고 있다.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 극심화가 가장 큰 이유다. 10년-2년 장단기 금리차는 -0.7% 포인트 수준, 10년-3개월 장단기 금리차 또한 -0.7% 포인트 수준을 넘어섰다. 1970년대 이후 2개의 장단기 금리차가 같이 역전되고 난 이후 평균적으로 16~17개월 뒤에 미국 경기 침체 시작되었기 때문에 많은 경제 전문가들은 이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미국 증시는 중간선거를 기점으로 반등에 성공해서 다우존스와 S&P500은 2자리수의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이다. 나스닥도 일정 부분 반등을 하고 있지만, 그 강도는 금리에 대한 우려가 강하기 때문에 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10월 13일을 바닥으로 큰 폭 반등 이후 미 증시도 최근 숨고르기 구간이 진행 중이다. 하지만, 미 연준 블러드 총채의 5~7% 미연준 기준 금리 발언에도 불구 조정 폭은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추가 상승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경기침체에 있어 개인적으로는 미국의 여신 증가가 다시 7% 대에서 시작되는 상황으로 볼 때 미국은 연착륙을 2023년에 성공할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지금은 글로벌 투자를 소홀히 하는 타이밍이 아니라 판단한다. 특히, 예금 증가율이 작년 동기 대비 -0.6%로 하락했지만, 주간 단위로는 2주 연속 상승 추세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여전히 미국 대출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 되는 중이다. 연간 평균12% 대출 증가율이 지속 유지될 경우 경기 침체 시기는 빨라야 2024년 하반기 초가 될 것이라 예상한다. 경기 선행 지수가 지속 하락 중이지만, 향후 조만간 바닥 다지고, 다시 반등하기 시작할 것이 예상된다. 향후 오는 경기 침체의 강도는 약할 것이고, 그 폭 또한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유동성 지표인 M1, M2 추이는 증가율이 0%대로 급락했다. 하지만, 실질 수치는 9월 말 바닥 이후 10월부터 재 상승 시작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유동성은 더 이상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유동성 하락이 바닥을 잡으면, 선행지수도 곧 바닥을 다질 것이 예상된다.
일부에서는 성장주 위주의 나스닥 투자 보다는 경기민감주 위주의 다우존수가 더 매력도가 높다 판단한다. 하지만, 매력도 순위로는 여전히 대형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100의 매력도가 가장 높다고 나타난다. 성장 업종별로는 태양광/신재생에너지, 전기차/전기차부품, 반도체/AI/IT, 바이오 산업에 대해서 가장 그 매력도가 높다 판단한다. 성장 업종 들 중 태양광/신재생에너지, 전기차/전기차 부품, 반도체/AI/IT 산업은 종목 선별이 가능하다 판단된다. 하지만, 바이오 산업에 있어서는 종목 선별 보다는 미국 상장 대표 ETF를 활용한 투자가 적절하다 판단한다.
미 증시 다우존스, S&P500 둘다 연말까지 추가 8~10% 정도 상승 가능하다 판단한다. 나스닥의 경우 금리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금리의 고점에 대한 확신이 필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중장기 매력도는 나스닥이 가장 높다 판단된다. 현재 나스닥의 상승여력은 15~20% 수준이다. 신흥국 매력도에서 한국이 가장 높게 나온다. 한국 전기차/전기차 부품 업종에 가장 높은 관심이 필요하다. 한국의 대표 선두 업종들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하는 타이밍이 아니라 분석된다. 이번 상승장에서 코스피 기준으로 당연히 2,600 포인트는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 전 고점까지 상승은 어렵지만, 2,900 포인트 돌파 가능성도 상존한다. 글로벌 포트폴리오 중 한국 비중이 4~5% 정도 포함할 것을 추천한다.
유동원 유안타증권 글로벌자산배분 본부장
최근 2023년 미국 경기침체에 대한 가능성이 크게 상승하고 있다. 1968년 통계 이후 최고 높은 가능성을 예측 기간들이 예견하고 있다.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 극심화가 가장 큰 이유다. 10년-2년 장단기 금리차는 -0.7% 포인트 수준, 10년-3개월 장단기 금리차 또한 -0.7% 포인트 수준을 넘어섰다. 1970년대 이후 2개의 장단기 금리차가 같이 역전되고 난 이후 평균적으로 16~17개월 뒤에 미국 경기 침체 시작되었기 때문에 많은 경제 전문가들은 이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미국 증시는 중간선거를 기점으로 반등에 성공해서 다우존스와 S&P500은 2자리수의 반등에 성공하는 모습이다. 나스닥도 일정 부분 반등을 하고 있지만, 그 강도는 금리에 대한 우려가 강하기 때문에 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10월 13일을 바닥으로 큰 폭 반등 이후 미 증시도 최근 숨고르기 구간이 진행 중이다. 하지만, 미 연준 블러드 총채의 5~7% 미연준 기준 금리 발언에도 불구 조정 폭은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즉, 추가 상승이 가능하다는 의미다.
경기침체에 있어 개인적으로는 미국의 여신 증가가 다시 7% 대에서 시작되는 상황으로 볼 때 미국은 연착륙을 2023년에 성공할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지금은 글로벌 투자를 소홀히 하는 타이밍이 아니라 판단한다. 특히, 예금 증가율이 작년 동기 대비 -0.6%로 하락했지만, 주간 단위로는 2주 연속 상승 추세로 전환되고 있다. 또한, 여전히 미국 대출 증가율이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 되는 중이다. 연간 평균12% 대출 증가율이 지속 유지될 경우 경기 침체 시기는 빨라야 2024년 하반기 초가 될 것이라 예상한다. 경기 선행 지수가 지속 하락 중이지만, 향후 조만간 바닥 다지고, 다시 반등하기 시작할 것이 예상된다. 향후 오는 경기 침체의 강도는 약할 것이고, 그 폭 또한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유동성 지표인 M1, M2 추이는 증가율이 0%대로 급락했다. 하지만, 실질 수치는 9월 말 바닥 이후 10월부터 재 상승 시작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유동성은 더 이상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유동성 하락이 바닥을 잡으면, 선행지수도 곧 바닥을 다질 것이 예상된다.
일부에서는 성장주 위주의 나스닥 투자 보다는 경기민감주 위주의 다우존수가 더 매력도가 높다 판단한다. 하지만, 매력도 순위로는 여전히 대형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100의 매력도가 가장 높다고 나타난다. 성장 업종별로는 태양광/신재생에너지, 전기차/전기차부품, 반도체/AI/IT, 바이오 산업에 대해서 가장 그 매력도가 높다 판단한다. 성장 업종 들 중 태양광/신재생에너지, 전기차/전기차 부품, 반도체/AI/IT 산업은 종목 선별이 가능하다 판단된다. 하지만, 바이오 산업에 있어서는 종목 선별 보다는 미국 상장 대표 ETF를 활용한 투자가 적절하다 판단한다.
미 증시 다우존스, S&P500 둘다 연말까지 추가 8~10% 정도 상승 가능하다 판단한다. 나스닥의 경우 금리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금리의 고점에 대한 확신이 필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중장기 매력도는 나스닥이 가장 높다 판단된다. 현재 나스닥의 상승여력은 15~20% 수준이다. 신흥국 매력도에서 한국이 가장 높게 나온다. 한국 전기차/전기차 부품 업종에 가장 높은 관심이 필요하다. 한국의 대표 선두 업종들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하는 타이밍이 아니라 분석된다. 이번 상승장에서 코스피 기준으로 당연히 2,600 포인트는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더 나아가서 전 고점까지 상승은 어렵지만, 2,900 포인트 돌파 가능성도 상존한다. 글로벌 포트폴리오 중 한국 비중이 4~5% 정도 포함할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