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0.26%) 5년 3개월 만에 최고 기록…10월에도 0.2%대 유지
단기 유동성 부족으로 부도 처리되는 중소기업 늘어
레고랜드발 자금경색 여진?…어음부도율도 고공비행
기업 어음부도율이 2개월째 고공비행하고 있다.

레고랜드 건설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설립된 특수목적회사(SPC) 아이원제일차의 부도에 이어 유동성 부족으로 중소기업들이 잇따라 만기가 돌아온 어음을 갚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 전국의 어음부도율은 0.20%로 9월(0.26%)에 이어 0.2%대를 나타냈다.

지난 9월 어음부도율은 지난 2017년 6월(0.28%)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10월 부도율 역시 전월을 제외하면 2018년 5월(0.2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어음부도율은 어음교환소에 교환 회부된 전체 어음과 수표 중 부도 처리된 금액의 비율을 뜻한다.

여기에는 기업 자기앞수표, 당좌수표, 약속어음, 전자어음 등이 모두 포함된다.

올해 들어 어음부도율은 지난 1월 0.02%를 시작으로 2월 0.03%, 3월 0.05%, 4월 0.10%, 5월 0.14%까지 높아지다가 6월 0.08%, 7월 0.01%, 8월 0.02%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4월과 5월을 제외하고는 0.1%를 하회하는 등 안정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9월 들어 갑자기 0.26%로 치솟은 뒤 10월에도 0.2%대를 유지했다.

부도 금액은 8월 373억원에서 9월 4천678억원으로 급증한 뒤 10월 3천923억원으로 소폭 줄었다.

부도업체 수는 8월 9곳에서 9월 13곳에 이어 10월에는 20곳으로 늘어났다.

이는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자금경색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우선 9월 부도율이 급등한 것은 레고랜드 조성사업 추진을 위해 설립된 아이원제일차가 발행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2천50억원 규모가 부도 처리된 데 따른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레고랜드 아일원제일차 부도와 같은 하나의 큰 요인이 발생해 9월 어음부도율이 일시적으로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후 회사채 발행시장 부진, 기업대출 금리 상승 등 자금시장 경색으로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중소기업들이 늘면서 10월 어음부도율 역시 고공비행을 지속했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어음 만기일에 일시적으로나마 예금 잔고가 없으면 일단 부도 금액으로 잡힌다"면서 "다만 이들 업체가 최종적으로 파산할지 여부는 이후의 문제"라고 말했다.
레고랜드발 자금경색 여진?…어음부도율도 고공비행
최근 자금시장에서는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들도 유동성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한은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10월 기업 대출 금리(연 5.27%)는 9월(4.66%)보다 0.61%포인트(p) 높아지면서 10년 1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지표 금리가 상승한 데다 회사채 시장 위축으로 은행 대출 수요가 확대되면서 기업 대출 금리도 올랐다.

특히 대기업(5.08%)보다 중소기업(5.49%)의 대출 금리가 더 높아 부담이 커지고 있다.

최근 자금시장 불안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자 정부는 1차로 3조원 규모로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를 조성하기로 한 데 이어 다시 5조원 규모의 2차 캐피털콜(펀드 자금 요청)을 실시하기로 했다.

정부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건설업 관련 비우량 회사채, A2등급 기업어음(CP) 등에 대한 추가 지원방안도 찾겠다는 방침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