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한민국학술원 석학들과의 오찬 간담회를 마친 뒤 이장무 대한민국학술원 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대한민국학술원 석학들과의 오찬 간담회를 마친 뒤 이장무 대한민국학술원 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1일 "가짜뉴스를 추방하고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디지털 규범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적극 공감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한민국학술원 석학들과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학술원 부회장인 이정복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의 조언에 이같이 답했다고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이 부회장은 "합리적 토론을 거부하면 민주주의가 위기를 맞는다"며 "지금 우리나라뿐 아니라 민주주의 선진국이 가짜뉴스와 비합리적 떼쓰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 해법으로 지금이라도 디지털 규범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대통령은 이 부회장의 언급에 공감을 표한 뒤 "민주주의를 살리기 위한 운동 중 하나로 디지털 규범에 대한 국민 공감대가 형성되도록 정부도 관심을 갖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학술원은 한국을 대표하는 학술기관이다. 학술 연구 경력이 20년 이상으로 학술 발전에 현저한 공적이 있는 경우에만 회원이 될 수 있다. 임기는 평생이다.

이날 오찬에는 현 학술원 회장인 이장무 전 서울대 총장과 부회장인 이정복 명예교수, 전직 회장인 이현재 전 국무총리 등 15명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의 부친인 윤기중 연세대 명예교수도 학술원 회원이지만 이날 오찬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1970년대 우리나라 목표는 과학입국, 수출입국인데 지금도 다르지 않다"며 "현 재 복합위기를 극복하려면 근본적으로 과학입국과 수출입국을 지향할 수밖에 없다. 학술원 여러분이 그 토대를 만들어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장무 회장은 "현재 기후변화, 팬데믹, 식량안보 등 여러 위기를 극복하려면 다양한 학문의 성과를 공유하는 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다양한 학자가 모여 국제단체와 교류하는 학술원이 책임감을 갖고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