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게 모은 돈인데 이걸 어쩌나요"…직장인 '한숨' [채선희의 금융꼬투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연 5% 은행 예금 실종사건
시장개입이냐 2금융 살리기냐
금융당국, 수신금리 인상 자제 요청
"은행 자금쏠림, 2금융 유동성 부족 야기 우려"
시장개입이냐 2금융 살리기냐
금융당국, 수신금리 인상 자제 요청
"은행 자금쏠림, 2금융 유동성 부족 야기 우려"
"은행에서 예테크 좀 해보려했더니 늦은 건가요. 힘들게 모은 돈인데…요즘 어렵다는 2금융권에 넣기엔 걱정돼요."(33세·직장생활 4년차)
14년 만에 등장했던 연 5%대 은행 예금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중순까지만해도 미국의 강한 통화긴축 의지, 기준금리 인상이 더해져 곧 연 6% 은행 예금이 출현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는데 말이죠.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대표상품인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최고 연 4.98%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상품은 주요 시중은행 정기예금 중 가장 먼저 연 5% 예금 시대를 연 상품이었습니다. KB국민은행의 대표상품인 'KB STAR 정기예금'은 연 4.7%까지 하락했습니다.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은 연 5.1%를 제공하지만 기본금리는 연 4.8%이고, 특별우대금리 0.3%포인트가 추가되는 형태입니다.
은행에서 연 5%대 예금 찾기가 어려워진 배경엔 금융당국 권고와 자금시장 경색 우려가 자리합니다. 유동성 위기를 겪는 일부 업권 대비 은행으로 자금이 쏠릴 것을 우려한 금융당국이 수신금리 인상 자제를 요청하면서 예적금 금리 상승이 주춤해졌습니다.
반 년 전만 해도 지나친 이익을 추구한다며 은행 이자장사를 비판하고,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 공시를 통해 금리 경쟁을 유도했던 당국이 왜 금리인상 자제를 요청한 걸까요. 지난달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은행 관계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은행권 시중 자금 쏠림현상이 제2금융권의 유동성 부족을 야기할 수 있다. 과도한 자금조달 경쟁을 자제해달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부터 10월까지 은행 정기예금으로만 약 164조원가량이 순유입됐습니다. 7월부터 10월까지는 매달 20조~30조원 이상의 돈이 몰렸습니다. 10월엔 5대 시중은행 정기예금에만 48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들어갔습니다.
이렇듯 은행으로 시중자금이 과도하게 쏠리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선 자금조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이 고객 돈을 끌어오려면 은행보다 수신금리를 높게 유지해야 하는데 자금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선 쉽지 않은 결정입니다. 실제 은행의 수신 경쟁 자제 권고에 대해 2금융권의 요구가 있었다는 말도 전해집니다.
당부인지, 경고든지 간에 김 위원장 발언 이후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추가 인상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금융소비자들의 불만이 점차 커지는 모습입니다. 대출금리는 계속 오르는 반면 수신금리는 낮아지면서 그 피해가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증시, 가상화폐시장 불안 속 투자처 찾기가 어려워진 재테크족들은 0.1%포인트(p)의 금리도 아쉽다며 볼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지나친 시장 개입이자 모순적인 행정', '은행 이자장사 한다고 압박해놓고 이제와선…참 일관성 없는 정책', '금리는 시장 흐름에 맡겨야 하는 것 아닌가. 정부 논리대로면 2금융 위기가 정말 심각한데, 국민들이 2금융권에 돈을 넣을 이유가 없죠' 등의 반응입니다.
은행들 입장에서도 난감합니다. 정부가 수신금리 인상 자제 뿐 아니라 은행채 발행 자제를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채권 발행과 수신금리 인상을 통해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데 당국이 모두 압박하면서 손발이 묶였다는 하소연이 나옵니다. 은행도 금융기관인데 대출금리 인상이라도 용인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이죠.
다만 한편으론 은행이 그동안 사상최대 이익을 내며 타 업권 대비 여유를 가진 만큼 불안한 금융환경에서 '맏형' 역할을 해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은 금리 인상 덕에 올해 1∼3분기 40조6000억원에 달하는 이자이익을 거뒀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조9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습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14년 만에 등장했던 연 5%대 은행 예금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중순까지만해도 미국의 강한 통화긴축 의지, 기준금리 인상이 더해져 곧 연 6% 은행 예금이 출현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는데 말이죠.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대표상품인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최고 연 4.98%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상품은 주요 시중은행 정기예금 중 가장 먼저 연 5% 예금 시대를 연 상품이었습니다. KB국민은행의 대표상품인 'KB STAR 정기예금'은 연 4.7%까지 하락했습니다.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은 연 5.1%를 제공하지만 기본금리는 연 4.8%이고, 특별우대금리 0.3%포인트가 추가되는 형태입니다.
은행에서 연 5%대 예금 찾기가 어려워진 배경엔 금융당국 권고와 자금시장 경색 우려가 자리합니다. 유동성 위기를 겪는 일부 업권 대비 은행으로 자금이 쏠릴 것을 우려한 금융당국이 수신금리 인상 자제를 요청하면서 예적금 금리 상승이 주춤해졌습니다.
반 년 전만 해도 지나친 이익을 추구한다며 은행 이자장사를 비판하고,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의 차이) 공시를 통해 금리 경쟁을 유도했던 당국이 왜 금리인상 자제를 요청한 걸까요. 지난달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은행 관계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은행권 시중 자금 쏠림현상이 제2금융권의 유동성 부족을 야기할 수 있다. 과도한 자금조달 경쟁을 자제해달라"고 말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부터 10월까지 은행 정기예금으로만 약 164조원가량이 순유입됐습니다. 7월부터 10월까지는 매달 20조~30조원 이상의 돈이 몰렸습니다. 10월엔 5대 시중은행 정기예금에만 48조원에 달하는 자금이 들어갔습니다.
이렇듯 은행으로 시중자금이 과도하게 쏠리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선 자금조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이 고객 돈을 끌어오려면 은행보다 수신금리를 높게 유지해야 하는데 자금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선 쉽지 않은 결정입니다. 실제 은행의 수신 경쟁 자제 권고에 대해 2금융권의 요구가 있었다는 말도 전해집니다.
당부인지, 경고든지 간에 김 위원장 발언 이후 은행들은 예적금 금리를 추가 인상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금융소비자들의 불만이 점차 커지는 모습입니다. 대출금리는 계속 오르는 반면 수신금리는 낮아지면서 그 피해가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증시, 가상화폐시장 불안 속 투자처 찾기가 어려워진 재테크족들은 0.1%포인트(p)의 금리도 아쉽다며 볼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지나친 시장 개입이자 모순적인 행정', '은행 이자장사 한다고 압박해놓고 이제와선…참 일관성 없는 정책', '금리는 시장 흐름에 맡겨야 하는 것 아닌가. 정부 논리대로면 2금융 위기가 정말 심각한데, 국민들이 2금융권에 돈을 넣을 이유가 없죠' 등의 반응입니다.
은행들 입장에서도 난감합니다. 정부가 수신금리 인상 자제 뿐 아니라 은행채 발행 자제를 요청했기 때문입니다. 채권 발행과 수신금리 인상을 통해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데 당국이 모두 압박하면서 손발이 묶였다는 하소연이 나옵니다. 은행도 금융기관인데 대출금리 인상이라도 용인해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이죠.
다만 한편으론 은행이 그동안 사상최대 이익을 내며 타 업권 대비 여유를 가진 만큼 불안한 금융환경에서 '맏형' 역할을 해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들은 금리 인상 덕에 올해 1∼3분기 40조6000억원에 달하는 이자이익을 거뒀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조9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였습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