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전동화 매출 내년부터 20% 넘길 것"-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28만원 유지
하나증권은 2일 현대모비스에 대해 전동화 매출이 증가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8만원을 유지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대모비스의 전동화 부문은 최근 5년간 연평균 50%의 고성장세를 기록했다"며 "전동화 매출 비중은 2022년 18%에서 2023년 21%, 2025년에는 27%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3년 전동화 부문 매출액은 올해 9조원에서 2조원 늘어난 11조원으로 전망했다.
이어 송 연구원은 "2021년 이후로는 기존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제품과 배터리팩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 인버터, 컨버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등 상대적 고부가가치 제품들의 비중도 확대되고 있다"면서 "주 고객사들인 현대, 기아차가 기존 모델뿐만 아니라 신규로 '아이오닉6'과 'EV9' 모델을 투입하면서 친환경 차 생산을 계속 늘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송 연구원은 2022년 4.0%까지 하락했던 영업이익률이 2023년에는 4.5%로 반등하고, 영업이익은 22%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일시적인 운송비 증가로 18%까지 하락했던 AS 부품의 이익률이 원부자재비와 운송비 부담 완화로 21%로 회복될 것"이라며 "모듈 부문에서는 일시적으로 생산 전문 자회사 설립의 영향을 받아 인건비가 증가했지만, 물량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송 연구원은 "북미, 유럽, 일본의 완성차들의 핵심 부품과 모듈 조립 수주가 증가해 고객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2023~2024년 사이에는 전동화 부문의 적자 축소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현대모비스의 전동화 부문은 최근 5년간 연평균 50%의 고성장세를 기록했다"며 "전동화 매출 비중은 2022년 18%에서 2023년 21%, 2025년에는 27%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3년 전동화 부문 매출액은 올해 9조원에서 2조원 늘어난 11조원으로 전망했다.
이어 송 연구원은 "2021년 이후로는 기존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제품과 배터리팩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 인버터, 컨버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등 상대적 고부가가치 제품들의 비중도 확대되고 있다"면서 "주 고객사들인 현대, 기아차가 기존 모델뿐만 아니라 신규로 '아이오닉6'과 'EV9' 모델을 투입하면서 친환경 차 생산을 계속 늘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송 연구원은 2022년 4.0%까지 하락했던 영업이익률이 2023년에는 4.5%로 반등하고, 영업이익은 22%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일시적인 운송비 증가로 18%까지 하락했던 AS 부품의 이익률이 원부자재비와 운송비 부담 완화로 21%로 회복될 것"이라며 "모듈 부문에서는 일시적으로 생산 전문 자회사 설립의 영향을 받아 인건비가 증가했지만, 물량 증가 등으로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송 연구원은 "북미, 유럽, 일본의 완성차들의 핵심 부품과 모듈 조립 수주가 증가해 고객 다변화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2023~2024년 사이에는 전동화 부문의 적자 축소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