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10억 넘는 부자 42만명…30~40대 부자도 7만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자산시장 냉각에 부자 증가율 '주춤'
비상장·암호화폐 투자엔 '부정적'
단기는 예적금…장기는 부동산 투자
비상장·암호화폐 투자엔 '부정적'
단기는 예적금…장기는 부동산 투자
금융자산을 10억원 넘게 보유한 ‘한국 부자’가 42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비중에선 현금 등 유동성 자산 비중이 커진 반면 부동산 시장 침체로 거주용 등 부동산 비중은 줄었다.
연구소는 한국은행 자금순환표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국세청 금융소득 종합과세통계와 KB금융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산했으며 별도로 한국 부자 400명을 설문조사했다.
한국의 부자 인구는 2020년보다 8.0% 늘었지만 증가폭은 2019년(10.9%)보다 줄었다. 지난해 주가 지수 상승세가 꺾이면서 부자 수 증가 속도도 더뎌졌다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 금융자산은 2883조원으로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자산 규모별로는 부자 10명 중 9명(90.7%·38만5000명)은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자산가'였다. 보유 금융 자산이 100억원 이상 300억원 미만인 '고자산가'는 7.3%(3만1000명), 30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가진 '초고자산가'는 2%(9000명)를 차지했다.
부자들의 자산 중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율은 56.5%, 38.5% 수준이었다. 일반 가구의 부동산· 금융자산의 비율(79.5%·16.1%)에 비해 금융자산 비중이 2.4배 많았다.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로 2021년(부동산 58.2%·금융 36.3%)에 비해 부동산 비중은 줄었다.
부자들도 자산시장 침체를 피하진 못했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의 부자 400명에게 올해 투자 성과를 묻자, "수익을 냈다"고 답한 비율은 17.0%에 불과했다. 2021년(42.0%)보다 25%포인트나 낮아졌다. 반면 "손실을 봤다"는 비율은 5.8%에서 18.8%로 증가했다.
금융투자 상품별로는 채권이나 만기환급형 보험 투자에서는 수익 비율이 손실보다 각각 3.2%포인트, 8.0%포인트 높았다. 반면 주식과 펀드에서는 손실 비율이 수익을 14.7%포인트, 6.7%포인트 웃돌았다.
부자들의 안정지향적 투자 성향도 강해졌다.원금의 손실 위험을 최소화하고 예적금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하는 ‘안정추구형’과 ‘안정형’ 비중의 합은 50.6%로 2021년(46.6%)보다 4%포인트 증가했다.
높은 수익률만큼 큰 손실도 감내할 수 있는 '적극투자형'과 '공격투자형' 비중의 합은 지난해 27.5%에서 올해 22.3%로 5.2%포인트 줄었다.
○단기적으론 예적금…장기는 주택 투자
부자들은 금리 인상을 경계하면서 향후 1년간 '예·적금'에 대한 투자를 늘리려는 의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금융자산 운용 전략과 관련해서는 향후 '예·적금 투자를 늘리겠다'는 응답률이 29.0%를 차지해 다른 금융상품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주식(17.8%)'은 작년(31.0%)에 비해 10%포인트 넘게 줄었다.
3년 이상 장기 유명 투자처로는 '거주용 외 주택'을 꼽은 비중이 43.0%로 가장 많았다. '거주용 부동산'(39.5%), '빌딩·상가'(38.0%), '토지·임야'(35.8%), '주식(31.0%)'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에는 가장 유망한 장기 투자처로 주식이 꼽혔으나, 올해는 선호도가 지난해 대비 29.5%포인트 급락했다.
비상장 투자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투자 손실 위험이 커서'(49.8%)', '기존 투자로 충분해서(30.2%)', '기업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없어서(27.2%)' 등이 꼽혔다.
암호화폐 등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비중은 7.8%로 작년(8.8%) 대비 1.0%포인트 감소했다. 올해 가상자산 시장이 침체하면서 투자자 가운데 70% 정도가 가상자산 투자 손실을 경험했다.
향후 가상자산 투자 의향에 대해서는 58.3%가 '투자하지 않겠다'고 응답했고, 30.6%는 '투자하거나 상황을 지켜보고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가상자산 투자를 하지 않으려는 이유로는 '가상자산 거래소를 신뢰할 수 없어서'(39.9%)와 '변동률이 너무 높아서'(36.1%) 등을 꼽았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자산시장 냉각에 부자 증가율 '주춤'
4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2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자산이 10억원 이상인 한국 부자는 모두 42만4000명, 전체 인구의 0.82%로 추정됐다.연구소는 한국은행 자금순환표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국세청 금융소득 종합과세통계와 KB금융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추산했으며 별도로 한국 부자 400명을 설문조사했다.
한국의 부자 인구는 2020년보다 8.0% 늘었지만 증가폭은 2019년(10.9%)보다 줄었다. 지난해 주가 지수 상승세가 꺾이면서 부자 수 증가 속도도 더뎌졌다는 게 연구소의 설명이다. 지난해 말 기준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 금융자산은 2883조원으로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자산 규모별로는 부자 10명 중 9명(90.7%·38만5000명)은 1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자산가'였다. 보유 금융 자산이 100억원 이상 300억원 미만인 '고자산가'는 7.3%(3만1000명), 30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가진 '초고자산가'는 2%(9000명)를 차지했다.
부자들의 자산 중 부동산과 금융자산 비율은 56.5%, 38.5% 수준이었다. 일반 가구의 부동산· 금융자산의 비율(79.5%·16.1%)에 비해 금융자산 비중이 2.4배 많았다.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로 2021년(부동산 58.2%·금융 36.3%)에 비해 부동산 비중은 줄었다.
○부자들도 손실 못 피해…안전지향 성향 강해져
부자들도 자산시장 침체를 피하진 못했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의 부자 400명에게 올해 투자 성과를 묻자, "수익을 냈다"고 답한 비율은 17.0%에 불과했다. 2021년(42.0%)보다 25%포인트나 낮아졌다. 반면 "손실을 봤다"는 비율은 5.8%에서 18.8%로 증가했다.
금융투자 상품별로는 채권이나 만기환급형 보험 투자에서는 수익 비율이 손실보다 각각 3.2%포인트, 8.0%포인트 높았다. 반면 주식과 펀드에서는 손실 비율이 수익을 14.7%포인트, 6.7%포인트 웃돌았다.
부자들의 안정지향적 투자 성향도 강해졌다.원금의 손실 위험을 최소화하고 예적금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하는 ‘안정추구형’과 ‘안정형’ 비중의 합은 50.6%로 2021년(46.6%)보다 4%포인트 증가했다.
높은 수익률만큼 큰 손실도 감내할 수 있는 '적극투자형'과 '공격투자형' 비중의 합은 지난해 27.5%에서 올해 22.3%로 5.2%포인트 줄었다.
○단기적으론 예적금…장기는 주택 투자
부자들은 금리 인상을 경계하면서 향후 1년간 '예·적금'에 대한 투자를 늘리려는 의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금융자산 운용 전략과 관련해서는 향후 '예·적금 투자를 늘리겠다'는 응답률이 29.0%를 차지해 다른 금융상품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주식(17.8%)'은 작년(31.0%)에 비해 10%포인트 넘게 줄었다.
3년 이상 장기 유명 투자처로는 '거주용 외 주택'을 꼽은 비중이 43.0%로 가장 많았다. '거주용 부동산'(39.5%), '빌딩·상가'(38.0%), '토지·임야'(35.8%), '주식(31.0%)'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해에는 가장 유망한 장기 투자처로 주식이 꼽혔으나, 올해는 선호도가 지난해 대비 29.5%포인트 급락했다.
○비상장·암호화폐 투자엔 '부정적'
부자들은 비상장주식이나 가상자산 투자에는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 비상장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은 8.3%에 그쳤고, '과거엔 투자했으나 현재는 투자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중이 17.0%로 두 배가량 많았다.비상장 투자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투자 손실 위험이 커서'(49.8%)', '기존 투자로 충분해서(30.2%)', '기업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없어서(27.2%)' 등이 꼽혔다.
암호화폐 등 가상자산에 투자하는 비중은 7.8%로 작년(8.8%) 대비 1.0%포인트 감소했다. 올해 가상자산 시장이 침체하면서 투자자 가운데 70% 정도가 가상자산 투자 손실을 경험했다.
향후 가상자산 투자 의향에 대해서는 58.3%가 '투자하지 않겠다'고 응답했고, 30.6%는 '투자하거나 상황을 지켜보고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가상자산 투자를 하지 않으려는 이유로는 '가상자산 거래소를 신뢰할 수 없어서'(39.9%)와 '변동률이 너무 높아서'(36.1%) 등을 꼽았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