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값·운송비 하락에 미소 짓는 자동차 부품株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분기 깜짝 실적으로 주가 재평가"
자동차 부품주가 박스권에 갇혀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자동차 부품업체 주가에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4분기 비용 부담 완화에 힘입어 시장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5일 현대모비스는 2.11% 내린 20만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한 달 동안 5.43% 하락하며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HL만도(-9.59%), 현대위아(-6.53%) 등도 약세를 보였다. 내년 경기 둔화로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증권가에서는 자동차 부품주가 올 4분기 실적 개선에 힘입어 상승세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재료값과 운송비 등 비용 부담이 완화됐다는 이유에서다. 주요 원재료인 알루미늄 가격은 전 분기 대비 15% 하락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2일 1171.36포인트를 기록하며 연고점(5109.6포인트)과 비교해 77% 급감했다.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업체는 매출원가 비중이 90%에 달해 비용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 하락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부품업체는 사업 특성상 해외 현지화율이 높고 수출 물량에 대해 환 헤지가 설정돼 있기 때문이다. 유 연구원은 “오히려 환율 하락으로 재료비 매입 가격이 내려가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주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도 크게 높아졌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업종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9.1배다. 5년 평균(12.4배)와 비교해 26.6% 낮아졌다. 43개 업종 가운데 최근 5년 평균 PER과 비교해 저평가 수준이 가장 크다.
다올투자증권은 현대모비스와 한온시스템을 최선호주로 꼽았다. 유 연구원은 “현재 자동차 부품주 주가는 실적 개선 가능성을 반영하지 못한 상태”라며 “내년 현대모비스의 전동화 사업 부문과 한온시스템의 친환경차(xEV) 부문 매출은 올해보다 각각 47%, 34% 증가하며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했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5일 현대모비스는 2.11% 내린 20만9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최근 한 달 동안 5.43% 하락하며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HL만도(-9.59%), 현대위아(-6.53%) 등도 약세를 보였다. 내년 경기 둔화로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증권가에서는 자동차 부품주가 올 4분기 실적 개선에 힘입어 상승세에 접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재료값과 운송비 등 비용 부담이 완화됐다는 이유에서다. 주요 원재료인 알루미늄 가격은 전 분기 대비 15% 하락했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2일 1171.36포인트를 기록하며 연고점(5109.6포인트)과 비교해 77% 급감했다.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업체는 매출원가 비중이 90%에 달해 비용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환율 하락이 실적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라는 분석이다. 부품업체는 사업 특성상 해외 현지화율이 높고 수출 물량에 대해 환 헤지가 설정돼 있기 때문이다. 유 연구원은 “오히려 환율 하락으로 재료비 매입 가격이 내려가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주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매력도 크게 높아졌다. 하나증권에 따르면 자동차 부품업종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9.1배다. 5년 평균(12.4배)와 비교해 26.6% 낮아졌다. 43개 업종 가운데 최근 5년 평균 PER과 비교해 저평가 수준이 가장 크다.
다올투자증권은 현대모비스와 한온시스템을 최선호주로 꼽았다. 유 연구원은 “현재 자동차 부품주 주가는 실적 개선 가능성을 반영하지 못한 상태”라며 “내년 현대모비스의 전동화 사업 부문과 한온시스템의 친환경차(xEV) 부문 매출은 올해보다 각각 47%, 34% 증가하며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했다.
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