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집중하던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경기후퇴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기 시작했다. 강도 높은 긴축이 자칫 경기 침체를 가져올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3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선진국 중 가장 먼저 금리를 인상한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은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경기 침체를 일으키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RBNZ는 지난주 기준금리를 연 4.25%로 0.75%포인트 올렸다. WSJ는 ‘덜 매파적인(less hawkish)’ 금리 인상을 예상했던 경제 전문가들을 놀라게 한 결정이라고 분석했다.

뉴질랜드 의회는 RBNZ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두고 의도적으로 경기후퇴를 계획하고 있는지를 물었고, 아드리안 오르 RBNZ 총재는 “맞다”고 답했다. 오르 총재는 “우리는 의도적으로 경제 총지출을 늦추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즉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일정 수준의 경기 침체는 불가피하다는 설명으로 풀이된다.

영국 중앙은행(BOE) 관계자도 경기 침체를 거론했다. 스와티 딩그라 BOE 통화정책위원은 영국 매체 업저버와의 인터뷰에서 “경기 침체가 심화하고 장기화하는 것을 피하려면 BOE의 기준금리가 연 4.5% 이하로 정점을 찍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시장이 이 수준의 금리가 영국 경제에 어떤 악영향을 미칠지에 대해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BOE는 지난달 통화정책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해 연 3.0%까지 올렸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이다. BOE가 물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금리를 올리고 있지만, 일정 선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가면 경기가 꼬꾸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미국에서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상이 0.5%포인트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는 것도 경기 우려 때문이다. 11월 FOMC 의사록에는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된 후 처음으로 경기후퇴가 직접적으로 언급됐다.

경제 조사기관 컨센서스 이코노믹스는 내년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평균 0.2%로 예상했다. 이는 1989년 이후 세 번째로 낮은 수준이다. WSJ의 자체적인 정기 설문 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의 63%가 내년에 미국 경기후퇴가 올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총생산(GDP)이 서너 분기 안에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싱크탱크인 블랙록 인베스트먼트 인스티튜트의 앨릭스 브레이저 부소장은 “미 중앙은행(Fed)이 근원 물가 상승률을 목표인 2%까지 낮추려면 경기후퇴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