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개발자 80% 이상 "초과근무 많지만 직무는 만족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01.32043689.1.jpg)
소비자 데이터 플랫폼 오픈서베이는 개발 직군의 회사 생활과 취업·이직 행태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개발자 트렌드 리포트 2022'를 6일 공개했다.
조사는 지난달 8∼15일 전국의 직장인·프리랜서 개발자나 개발 직무 구직자 293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절반(54.3%)은 중소·벤처·스타트업 재직자이며, 대기업은 21.5%, 중견기업은 19.8%였다. 취업 상태인 개발자 286명 중 최근 3개월 안에 초과근무를 했다는 비율은 81.1%였다. 일주일 기준으로 3시간 미만 초과근무 한 비율이 33.9%, 3∼7시간 25.2%, 7∼12시간 14%였다. 일주일에 12시간 넘게 초과근무를 했다는 이들도 8%를 기록했다.
대부분 격무에 시달리면서도 직무에 만족한다는 개발자는 64.3%(매우 만족 22%, 만족 42.3%)로 조사됐다. 개발팀 규모가 클수록 직무 만족도도 올랐고, 웹 개발 등 다른 직무보다 '모바일 앱' 개발자 가운데 특히 만족하는 비율(76.9%)이 높았다. 회사 자체에 만족한다고 한 이들은 54.5%(매우 만족 17.1%, 만족 37.4%)로 다소 낮았다. 회사가 만족스럽다는 답변도 모바일 앱 개발자에게서 가장 많이(76.9%) 나왔다.
개발자들은 회사를 정할 때 '내가 성장할 기회'(32.2%)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했다. '회사의 성장 가능성'(24.8%)과 '연봉 등 보상이 만족스러워서'가 24.5%로 뒤를 이었다. 개발자로서 불만을 가지는 요소 중에는 '성장에 대한 압박'(46.5%)이 가장 높았고, '기술 트렌드 대응에 대한 부담감'(44.1%)이 비등했다. 미래에 대한 불안감(32.2%) 등도 있었다.
개발자들은 올해 하반기 주요 이슈로 '화재로 인한 카카오 서비스 장애'와 '스타트업 투자 불황', '외국계 IT 기업의 구조조정' 등을 꼽았다.
조아라 한경닷컴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