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소설로 말한다'…작가소개조차 없는 문학잡지 '긋닛'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비대면·기후위기·노동 등
사회현안 주제로 내세워
年 네 차례 발간되는 소설 계간지
3호부터는 주제별 단편소설 공모
등단 여부 등 자격 제한 없어
당선작에는 원고료 150만원
사회현안 주제로 내세워
年 네 차례 발간되는 소설 계간지
3호부터는 주제별 단편소설 공모
등단 여부 등 자격 제한 없어
당선작에는 원고료 150만원
목차조차 없다. 사진, 삽화는 물론 작가소개 한 줄 찾아볼 수 없다. 120여쪽의 잡지를 채운 건 오로지 '이야기'다.
최근 출판사 이음이 창간한 소설 전문 계간지 <긋닛>은 매년 네 차례(3월, 6월, 9월, 12월) 사회 현안을 주제로 한 소설들을 모아 싣는다. 주제의 이해를 도울 에세이도 한 편씩 담는다. 1호의 주제는 '비대면', 2호는 '기후위기'다. 내년 3월 '노동'을 주제로 나올 3호부터는 등단 여부와 상관 없이 단편소설을 공모해 당선작을 함께 실을 예정이다.
<긋닛> 편집위원인 소설가 김태용은 6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소설이라는 장르는 시대의 단면, 시대의 문제의식을 일상의 이야기로 보여주는 데 탁월하다"며 "<긋닛>을 통해 장기적으로 사회가 함께 고민해나갈 하나의 주제를 제시하고, 그 주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소설을 소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긋닛'은 '단속(斷續)'의 옛말이다. 끊어지고 또 이어진다는 뜻이다. 전력질주하는 세상의 가운데서 잠시 멈춰서서 사회에 질문을 던지고 다음 나아갈 길을 고민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여러 작가가 하나의 주제를 향해 소설을 쓰고 동시에 하나의 문예지를 통해 공개하는 건 이례적이다.
기존의 문예지도 매 호마다 시대를 진단하는 주제를 하나씩 정하긴 하지만, 주제와 직접적으로 엮이는 건 대개 평론이다. 문예지에 싣는 소설은 주제와 상관 없이 청탁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 점에서 <긋닛>은 매 호가 한 권의 앤솔로지(특정 주제에 대한 여러 작가의 작품을 묶은 책) 같다.
김 작가는 "주일우 이음 대표와 얘기하다 '기후위기'를 주제로 한 앤솔로지를 제안했는데, 주 대표가 1회성이 아니라 좀더 지속성 있는 매체를 고민해보자고 하면서 계간지를 만들게 됐다"고 했다.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문학동네 출신 조연주 편집장도 편집위원으로 합류했다.
하나의 주제를 바라보는 각 작가의 다채로운 시선을 만나볼 수 있다. 예컨대 2호의 주제 '기후위기'를 우다영 작가는 단편소설 '기도는 기적의 일부'에서 계급의 문제로 다뤘다. 최진영 작가는 '썸머의 마술과학'을 통해 세대의 문제로 접근했다.
또 다른 편집위원인 소설가 민병훈은 "3호 필진으로 참여할 예정인데, 작가로서 흥미로운 경험"이라며 "관심 주제를 키워드로 주고 소설을 쓰게 하는 방식이 작가에게도 도전의식, 의욕을 불러 일으키는 것 같다"고 했다.
김 작가 역시 "4호에 소설을 싣기로 했는데 소설 청탁 받고 이렇게 소설 쓰기에 대한 고민을 즐겁게, 많이 한 건 처음"이라며 웃었다. "4호의 주제는 '지방소멸'인데 저는 서울을 떠나 살아본 적이 한 번도 없는 사람이거든요. 자료조사도 철저히 하고, 지방에 사는 사람 혹은 지방을 떠난 사람들을 인터뷰도 해봐야 할 거 같아요." <긋닛>의 특징 중 하나는 신춘문예 출신 등 등단 여부에 상관 없이 소설을 공모해 싣는다는 것이다.
편집위원인 소설가 우다영은 "미등단 작가에도 문을 열어둔 건 <긋닛>이 집중하는 게 소설이기 때문"이라며 "소설은 말하는 장르이고, 좋은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조건은 등단 여부보다도 '해당 주제에 얼마나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느냐'일 것"이라고 했다.
내년 봄 '노동'을 주제로 발간 예정인 3호가 대표적이다. 여기에는 용접공 출신 천현우 작가의 소설도 실릴 예정이다. 천 작가는 <쇳밥일지> 등 자신의 경험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에세이로 이름을 알렸다. 그가 소설을 공개적인 지면에 싣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3호의 경우 올해 12월 31일까지 '노동'을 주제로 단편소설을 공모해 당선작을 실을 예정이다. 원고 분량은 200자 원고지 기준 80~100매다. 응모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당선되면 원고료 150만원도 지급한다. <긋닛> 편집부 대표 이메일을 통해 원고를 받는다. '지방소멸'을 주제로 한 4호의 원고 마감일은 내년 3월 31일, '빚(채무)'를 주제로 한 5호 원고 마감일은 내년 6월 30일이다.
우 작가는 "<긋닛>이 한 권의 책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이야기의 장을 여는 시작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 작가는 "동시대의 문제를 함께 토론하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기 위해 북토크 등 관련 행사도 많이 열려고 한다"고 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최근 출판사 이음이 창간한 소설 전문 계간지 <긋닛>은 매년 네 차례(3월, 6월, 9월, 12월) 사회 현안을 주제로 한 소설들을 모아 싣는다. 주제의 이해를 도울 에세이도 한 편씩 담는다. 1호의 주제는 '비대면', 2호는 '기후위기'다. 내년 3월 '노동'을 주제로 나올 3호부터는 등단 여부와 상관 없이 단편소설을 공모해 당선작을 함께 실을 예정이다.
<긋닛> 편집위원인 소설가 김태용은 6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소설이라는 장르는 시대의 단면, 시대의 문제의식을 일상의 이야기로 보여주는 데 탁월하다"며 "<긋닛>을 통해 장기적으로 사회가 함께 고민해나갈 하나의 주제를 제시하고, 그 주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소설을 소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긋닛'은 '단속(斷續)'의 옛말이다. 끊어지고 또 이어진다는 뜻이다. 전력질주하는 세상의 가운데서 잠시 멈춰서서 사회에 질문을 던지고 다음 나아갈 길을 고민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여러 작가가 하나의 주제를 향해 소설을 쓰고 동시에 하나의 문예지를 통해 공개하는 건 이례적이다.
기존의 문예지도 매 호마다 시대를 진단하는 주제를 하나씩 정하긴 하지만, 주제와 직접적으로 엮이는 건 대개 평론이다. 문예지에 싣는 소설은 주제와 상관 없이 청탁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 점에서 <긋닛>은 매 호가 한 권의 앤솔로지(특정 주제에 대한 여러 작가의 작품을 묶은 책) 같다.
김 작가는 "주일우 이음 대표와 얘기하다 '기후위기'를 주제로 한 앤솔로지를 제안했는데, 주 대표가 1회성이 아니라 좀더 지속성 있는 매체를 고민해보자고 하면서 계간지를 만들게 됐다"고 했다.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문학동네 출신 조연주 편집장도 편집위원으로 합류했다.
하나의 주제를 바라보는 각 작가의 다채로운 시선을 만나볼 수 있다. 예컨대 2호의 주제 '기후위기'를 우다영 작가는 단편소설 '기도는 기적의 일부'에서 계급의 문제로 다뤘다. 최진영 작가는 '썸머의 마술과학'을 통해 세대의 문제로 접근했다.
또 다른 편집위원인 소설가 민병훈은 "3호 필진으로 참여할 예정인데, 작가로서 흥미로운 경험"이라며 "관심 주제를 키워드로 주고 소설을 쓰게 하는 방식이 작가에게도 도전의식, 의욕을 불러 일으키는 것 같다"고 했다.
김 작가 역시 "4호에 소설을 싣기로 했는데 소설 청탁 받고 이렇게 소설 쓰기에 대한 고민을 즐겁게, 많이 한 건 처음"이라며 웃었다. "4호의 주제는 '지방소멸'인데 저는 서울을 떠나 살아본 적이 한 번도 없는 사람이거든요. 자료조사도 철저히 하고, 지방에 사는 사람 혹은 지방을 떠난 사람들을 인터뷰도 해봐야 할 거 같아요." <긋닛>의 특징 중 하나는 신춘문예 출신 등 등단 여부에 상관 없이 소설을 공모해 싣는다는 것이다.
편집위원인 소설가 우다영은 "미등단 작가에도 문을 열어둔 건 <긋닛>이 집중하는 게 소설이기 때문"이라며 "소설은 말하는 장르이고, 좋은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는 조건은 등단 여부보다도 '해당 주제에 얼마나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느냐'일 것"이라고 했다.
내년 봄 '노동'을 주제로 발간 예정인 3호가 대표적이다. 여기에는 용접공 출신 천현우 작가의 소설도 실릴 예정이다. 천 작가는 <쇳밥일지> 등 자신의 경험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에세이로 이름을 알렸다. 그가 소설을 공개적인 지면에 싣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3호의 경우 올해 12월 31일까지 '노동'을 주제로 단편소설을 공모해 당선작을 실을 예정이다. 원고 분량은 200자 원고지 기준 80~100매다. 응모자격에는 제한이 없다. 당선되면 원고료 150만원도 지급한다. <긋닛> 편집부 대표 이메일을 통해 원고를 받는다. '지방소멸'을 주제로 한 4호의 원고 마감일은 내년 3월 31일, '빚(채무)'를 주제로 한 5호 원고 마감일은 내년 6월 30일이다.
우 작가는 "<긋닛>이 한 권의 책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이야기의 장을 여는 시작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 작가는 "동시대의 문제를 함께 토론하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기 위해 북토크 등 관련 행사도 많이 열려고 한다"고 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