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등 공급 끊겨 공정 차질
"조직적 봉쇄로 작업자체 불가능"
7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역 공사 현장 335곳 중 32.2%인 108곳이 민주노총 건설노조의 동조 파업으로 레미콘 공급이 끊겼다. 이들 건설 현장에선 작업이 전부 혹은 일부 중단됐다. 울산시도 대형 공사 현장 110곳 가운데 32.7%인 36곳에 레미콘 공급이 안 돼 공정에 차질이 빚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경상남도에 따르면 이날 도내 77개 건설 현장에 레미콘 공급이 끊겼다.
경상남도 관계자는 “도내 시멘트 출하량은 평소의 40%, 철강은 50%에 불과하다”며 “8일부터 부산·울산·경남지역 건설기계 차주들의 작업 거부가 예정돼 더 큰 피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지난달 24일 화물연대가 파업에 들어가면서 이 지역 건설 현장엔 시멘트 공급이 끊겼다. 최근 들어 시멘트 공급이 조금씩 풀리는 모습을 보이자 타설공들이 지난 5일 동조 파업에 들어가 다시 골조공사가 중단됐다. 여기에 철근공 배관공 미장공 등 민주노총 소속 건설인부와 건설기계 차주들도 8일부터 무기한 작업 거부를 선언하면서 피해가 더 확산하는 추세다.
레미콘업계는 매출 감소에 따른 자금난으로 상당수 업체가 도산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지역 레미콘업계의 하루 매출 손실만 300억원에 달한다는 게 업계 추산이다.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레미콘 타설을 비롯한 현장 작업을 할 수 없도록 민주노총이 조직을 동원해 2중, 3중으로 봉쇄했다”며 “현장 기사들이 일하고 싶어도 민주노총 집행부에 찍힐까 봐 눈치만 보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레미콘 타설 중단이 장기화하면서 공기 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입주 지연 등의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사업장별로 민주노총과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소속 인원을 반드시 몇 명 채용해야 한다는 ‘나눠 먹기’식 고용 비율이 존재한다”며 “대체인력을 투입하면 이 ‘암묵적인 룰’이 깨져 보복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아무 대응도 할 수 없다”고 한탄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