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정부에 반기 든 통신사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송형석 산업부 차장
통신은 정부의 입김이 강한 업종이다. 공공재인 주파수를 정부로부터 할당받는 것이 비즈니스의 첫걸음이다. 통신사들의 위치가 ‘을(乙)’인 이유도 여기에 있다. 밉보이면 사업이 축소되거나 중단될 수 있다 보니 어지간한 정부 요청은 군말 없이 수용한다. 그런 점에서 5세대(5G) 이동통신 28기가헤르츠(㎓) 주파수를 둘러싼 통신사들과 정부의 갈등은 이례적이다. 업계가 정부의 지침에 정면으로 반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28㎓ 주파수 할당 내용을 점검했다. 그 결과 KT와 LG유플러스가 할당 취소, SK텔레콤이 이용 기간 단축(6개월) 처분을 받았다. 28㎓ 장비 설치율이 이행 목표보다 훨씬 낮은 10.6~12.5%에 그쳤다는 이유에서다. 통신사가 약속한 투자를 포기하고, 정부가 할당한 주파수를 회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8㎓ 사건의 발단은 20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한국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란 타이틀을 거머쥐는 데 성공했다. 5G 상용화는 전 정권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유영민 전 과기정통부 장관이 주도했다. 핵심 메시지는 ‘LTE(4G)보다 20배 빠르다’였다. 정부는 ‘진짜 5G’와 ‘세계 최초’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28㎓와 3.5㎓를 패키지로 묶어 할당했다. 홍보는 속도가 빠른 28㎓로 하고, 통신장비의 설치는 3.5㎓ 중심으로 진행한 것이다.
우리가 쓰는 5G는 3.5㎓ 주파수를 활용한다.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 데이터 처리 속도가 LTE의 2~3배 수준에 불과하다. 5G가 정부의 홍보 문구처럼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를 내려면 28㎓ 대역 주파수에서 5G만 사용해야 한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관제 통신’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통신사들이 이전처럼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게 핵심이다.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과포화 상태다. 매년 조 단위가 들어가는 만만찮은 투자금 때문에 신규 사업자가 나오지 않고 있다. 업계가 통신 비즈니스만 바라보는 것도 아니다. 디지털 전환(DX) 수요 덕에 데이터센터 등 이른바 ‘비통신’ 매출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번 사건은 6G 등 미래 통신망 상용화를 준비 중인 정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치적을 위해 통신사에 적자가 뻔한 투자 계획을 요구하거나 무리한 일정을 강요하는 행태는 갈등만 불러일으킬 것이다. 정부가 통신사들의 반란에서 교훈을 얻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28㎓ 주파수 할당 내용을 점검했다. 그 결과 KT와 LG유플러스가 할당 취소, SK텔레콤이 이용 기간 단축(6개월) 처분을 받았다. 28㎓ 장비 설치율이 이행 목표보다 훨씬 낮은 10.6~12.5%에 그쳤다는 이유에서다. 통신사가 약속한 투자를 포기하고, 정부가 할당한 주파수를 회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의 그늘
지난 5일 통신 3사의 입장을 듣는 비공개 청문 자리에서도 이렇다 할 반전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통신사들은 이미 투입한 주파수 대금의 92%인 5711억원을 손실 처리한 상태다. 정부는 제4 이동통신사를 새로 뽑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28㎓ 사건의 발단은 20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한국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란 타이틀을 거머쥐는 데 성공했다. 5G 상용화는 전 정권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유영민 전 과기정통부 장관이 주도했다. 핵심 메시지는 ‘LTE(4G)보다 20배 빠르다’였다. 정부는 ‘진짜 5G’와 ‘세계 최초’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28㎓와 3.5㎓를 패키지로 묶어 할당했다. 홍보는 속도가 빠른 28㎓로 하고, 통신장비의 설치는 3.5㎓ 중심으로 진행한 것이다.
우리가 쓰는 5G는 3.5㎓ 주파수를 활용한다. 주파수 대역폭이 좁아 데이터 처리 속도가 LTE의 2~3배 수준에 불과하다. 5G가 정부의 홍보 문구처럼 LTE보다 20배 빠른 속도를 내려면 28㎓ 대역 주파수에서 5G만 사용해야 한다.
정부 주도 '관제 통신' 시대 끝나
28㎓대 주파수는 ‘투자 대비 효율’이 나오지 않는다. 직진성이 강해 신호가 쉽게 가로막히는 탓에 3.5㎓보다 장비를 훨씬 더 촘촘히 설치해야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시장 수요도 많지 않다. 우리가 사용하는 5G 스마트폰은 28㎓를 아예 지원하지 않는다. 스마트공장이나 메타버스 수요를 기대하고 있지만 아직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전문가들 사이에선 ‘관제 통신’ 시대가 막을 내리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통신사들이 이전처럼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게 핵심이다.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과포화 상태다. 매년 조 단위가 들어가는 만만찮은 투자금 때문에 신규 사업자가 나오지 않고 있다. 업계가 통신 비즈니스만 바라보는 것도 아니다. 디지털 전환(DX) 수요 덕에 데이터센터 등 이른바 ‘비통신’ 매출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번 사건은 6G 등 미래 통신망 상용화를 준비 중인 정부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치적을 위해 통신사에 적자가 뻔한 투자 계획을 요구하거나 무리한 일정을 강요하는 행태는 갈등만 불러일으킬 것이다. 정부가 통신사들의 반란에서 교훈을 얻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