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침체 회피 불가능” vs. 폴슨 “강세장 이미 시작됐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월스트리트에서 내년 증시 전망을 놓고 또 다시 엇갈린 주장이 맞붙고 있다.
소파이의 리즈 영 전략책임자는 8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내년 경기 침체가 불가피하다”며 주가 전망도 밝지 않다고 예상했다.
그는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의 금리 인상 중단 또는 인하를 시장이 바라고 있으나 물가상승률이 7%를 넘는 상황에서 잘못된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영 책임자는 “파월 의장은 지금 궁지에 몰려 있다”며 “지금 상황에서 정책 경로를 변경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그는 “11월의 임금상승률을 보면 전달 대비 0.6%를 기록했는데 시장 예상보다 두 배 높았다”며 “임금과 물가의 소용돌이가 지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때문에 “침체를 피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루솔드그룹의 짐 폴슨 최고투자전략가(CIS)는 낙관론을 폈다.
그는 “S&P500지수가 내년 말엔 5000을 찍을 것”이라며 “지금보다 최소 25% 오를 거라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폴슨 전략가는 “시장의 지나친 비관론 때문에 주가가 이미 저점을 찍은 것 같다”며 “강세장이 막 시작됐다”고 했다.
그는 “국채 10년물 금리가 3개월래 최저점을 찍은 데 이어 달러는 고점 대비 9% 떨어졌을 정도로 약세로 전환했다”며 “Fed 역시 조만간 금리 인상을 중단하게 될 것”이라고 근거를 댔다.
폴슨 전략가는 “모든 사람들이 침체를 예상하면 실제로 오지 않는다”며 “침체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경기 침체도 피할 수 있을 것이란 예측이다.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
소파이의 리즈 영 전략책임자는 8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내년 경기 침체가 불가피하다”며 주가 전망도 밝지 않다고 예상했다.
그는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의 금리 인상 중단 또는 인하를 시장이 바라고 있으나 물가상승률이 7%를 넘는 상황에서 잘못된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영 책임자는 “파월 의장은 지금 궁지에 몰려 있다”며 “지금 상황에서 정책 경로를 변경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그는 “11월의 임금상승률을 보면 전달 대비 0.6%를 기록했는데 시장 예상보다 두 배 높았다”며 “임금과 물가의 소용돌이가 지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때문에 “침체를 피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루솔드그룹의 짐 폴슨 최고투자전략가(CIS)는 낙관론을 폈다.
그는 “S&P500지수가 내년 말엔 5000을 찍을 것”이라며 “지금보다 최소 25% 오를 거라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폴슨 전략가는 “시장의 지나친 비관론 때문에 주가가 이미 저점을 찍은 것 같다”며 “강세장이 막 시작됐다”고 했다.
그는 “국채 10년물 금리가 3개월래 최저점을 찍은 데 이어 달러는 고점 대비 9% 떨어졌을 정도로 약세로 전환했다”며 “Fed 역시 조만간 금리 인상을 중단하게 될 것”이라고 근거를 댔다.
폴슨 전략가는 “모든 사람들이 침체를 예상하면 실제로 오지 않는다”며 “침체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경기 침체도 피할 수 있을 것이란 예측이다.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