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30년까지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술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K-클라우드’ 추진 방안을 12일 발표했다.

이 방안은 하드웨어의 혁신이 다음 번 AI 기술 도약의 필수 요소이므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AI 반도체 혁신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대량 연산이 필요한 AI 작업에는 미국 엔비디아 등이 주도하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반도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전력 소모가 커 환경파괴 등의 문제가 따르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는 신경망처리장치(NPU)를 국내 반도체 스타트업들이 상용화하고 있으나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정부는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이 우위를 갖고 있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을 이 분야에 접목해 고성능 저전력의 지능형 반도체(프로세스 인 메모리·PIM) 기술을 개발,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2030년까지 저전력 PIM, 극저전력 PIM을 단계적으로 개발 및 상용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내년 1월 광주의 국가 AI 집적단지 등에 저전력 NPU 집적단지 조성에 착수하는 등 국내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상용화에 필수적인 ‘사용실적’을 만들어주기로 했다. 또 하드웨어를 적용해 볼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딥러닝 등 AI 알고리즘을 초고속·극저전력으로 실행하는 컴파일러, 라이브러리, AI 모델 자동 병렬화 기술 등과 이를 클라우드에 적용하는 가상머신(VM) 및 컨테이너 기술, 가상 서버 클러스터 기술 등 개발도 돕기로 했다.

윤두희 과기정통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장은 “AI 반도체 기업, 클라우드 기업,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 등이 연계된 ‘K-클라우드 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