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대구 수출액도 증가세 높아"
수산식품 수출 4조원 시대 열렸다…김·참치 효자식품으로
해양수산부는 지난 9일 우리나라 수산식품 수출액이 올해 목표인 30억달러(약 3조8천700억원)를 조기 달성했다고 14일 밝혔다.

작년 동기(26억1천만달러)보다 15% 증가한 수치로, 올해 수산식품 수출액이 역대 최초로 4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해수부는 전망했다.

우리나라 수산식품은 전 세계 139개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품목 중엔 김 수출액이 6억2천만달러로 가장 많다.

전 세계 김 시장의 70%를 장악한 한국 김은 2010년 수출 1억달러를 달성했고 2019년부터는 수산식품 수출 1위를 지켜오고 있다.

김스낵·부각 등 해외 소비자를 고려한 다양한 제품을 개발한 점, 성장 가능성이 높은 미국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한 점 등이 주효했다.

김은 양식, 가공, 유통 등 모든 단계가 국내에서 이뤄져 수출 시 국내로 돌아오는 부가가치가 많다.

대규모 선단을 구축한 참치 수출액이 5억8천만달러로 두 번째로 높았다.

참치는 1957년 지남호의 인도양 시험어업을 시작으로 1963년에는 일본 수출을 개시했다.

참치 대표 기업인 동원그룹은 2008년 미국 최대 참치 회사인 스타키스트, 2011년 아프리카 세네갈의 스카사 등을 인수하기도 했다.

그 뒤로 명태 수출액이 2억6천만달러, 대구 수출액이 1억2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작년보다 각각 94%, 41% 증가한 수치다.

해수부는 올해 초 수산식품 수출 확대 전략을 수립해 수출기업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코로나발 글로벌 물류대란이 발생했을 당시 수산식품 수출 전용 선적 공간을 확보했으며 한류 연계 마케팅으로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수출 증가에도 기여하고 있다.

해수부는 앞으로 수출 성장세가 이어질 수 있도록 유럽, 남미 등 신시장을 개척하고 물류비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업계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 굴·전복 등 유망 품목을 집중 육성하고 수산식품 클러스터 조성 등 산업 고도화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국가 전체 수출이 어려운 상황에도 수산업계의 노력이 올해 목표치 30억달러 조기 달성이라는 큰 성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