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형 주식 주목"…신한운용 '2023 펀드시장 전망' 발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한자산운용은 '2023년 펀드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간하며 판매사 외 기관투자자에게 배포했다고 15일 밝혔다.
펀드시장 전망은 2019년부터 4년째 발간하는 연간 전망자료다. 증권사, 경제연구소의 전망자료와 달리 펀드를 운용하고 상품을 공급하는 자산운용사의 시각에서 바라본 펀드시장의 변화와 전망을 담았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의 특징은 높아진 금리와 경기둔화의 환경에서 펀드시장에 영향을 주는 4가지 이슈에 대한 분석을 했다는 점이다. 세 부분으로 나눠진 이 보고서는 올해 트렌드, 내년 전망, 내년 ESG트랜드로 구성돼 있다.
송태헌 신한자산운용 상품전략센터 수석부장은 "내년 경기국면은 경기 둔화와 고물가가 지속될 것이고 경기가 역성장 수준 침체에 빠지지 않는 한 통화완화 시점도 늦춰지고 속도도 완만할 것"이라며 "금리 상승으로 안전자산 중심의 자산배분이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금리 상승 환경에서 주식투자는 주가가 고점 대비 많이 하락한 것을 고려해 평균 매입가격을 관리할 수 있는 적립식 투자가 적합할 것"이라면서 "고금리 환경에서 기업간 펀더멘털의 차별화는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꾸준한 자본적지출을 유지하고 높은 ROE를 유지하여 순자산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채권형 주식에 주목하기를 추천한다"고 했다.
그는 연금상품의 변화에 대해서도 제언했다. 송 부장은 "타깃데이트펀드(TDF) 중 설정액이 가장 많은 2025상품의 타깃 데이트가 3년 앞으로 다가왔다"며 "매월 발생한 인컴수익을 분배하는 정기적 분배금 상품이 ETF에 이어 퇴직연금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ESG 투자에 대해서는 "올해 지속적으로 성장세가 둔화됐으나 순유입 기조는 유지됐고 ESG 외 펀드들에서는 자금유출이 지속된 것을 고려하면 ESG 테마 자체의 퇴조로 보기에는 시기상조"라며 "ESG가 실행 단계로 넘어가면서 현실에서 다양한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등 성장통을 겪는 단계"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논란이 많았음에도 탄소중립 및 배출량 관련 이슈는 표준 및 규정 마련으로 구체화되는 등 한 단계 발전했다"고 밝혔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펀드시장 전망은 2019년부터 4년째 발간하는 연간 전망자료다. 증권사, 경제연구소의 전망자료와 달리 펀드를 운용하고 상품을 공급하는 자산운용사의 시각에서 바라본 펀드시장의 변화와 전망을 담았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의 특징은 높아진 금리와 경기둔화의 환경에서 펀드시장에 영향을 주는 4가지 이슈에 대한 분석을 했다는 점이다. 세 부분으로 나눠진 이 보고서는 올해 트렌드, 내년 전망, 내년 ESG트랜드로 구성돼 있다.
송태헌 신한자산운용 상품전략센터 수석부장은 "내년 경기국면은 경기 둔화와 고물가가 지속될 것이고 경기가 역성장 수준 침체에 빠지지 않는 한 통화완화 시점도 늦춰지고 속도도 완만할 것"이라며 "금리 상승으로 안전자산 중심의 자산배분이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금리 상승 환경에서 주식투자는 주가가 고점 대비 많이 하락한 것을 고려해 평균 매입가격을 관리할 수 있는 적립식 투자가 적합할 것"이라면서 "고금리 환경에서 기업간 펀더멘털의 차별화는 심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꾸준한 자본적지출을 유지하고 높은 ROE를 유지하여 순자산 가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채권형 주식에 주목하기를 추천한다"고 했다.
그는 연금상품의 변화에 대해서도 제언했다. 송 부장은 "타깃데이트펀드(TDF) 중 설정액이 가장 많은 2025상품의 타깃 데이트가 3년 앞으로 다가왔다"며 "매월 발생한 인컴수익을 분배하는 정기적 분배금 상품이 ETF에 이어 퇴직연금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ESG 투자에 대해서는 "올해 지속적으로 성장세가 둔화됐으나 순유입 기조는 유지됐고 ESG 외 펀드들에서는 자금유출이 지속된 것을 고려하면 ESG 테마 자체의 퇴조로 보기에는 시기상조"라며 "ESG가 실행 단계로 넘어가면서 현실에서 다양한 이해관계가 상충하는 등 성장통을 겪는 단계"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도 "논란이 많았음에도 탄소중립 및 배출량 관련 이슈는 표준 및 규정 마련으로 구체화되는 등 한 단계 발전했다"고 밝혔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