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31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다섯 소리꾼과 함께 만정제 '춘향가'를 완창하는 안숙선 명창. 국립극장 제공
오는 31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다섯 소리꾼과 함께 만정제 '춘향가'를 완창하는 안숙선 명창. 국립극장 제공
안숙선 명창이 오는 31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판소리 ‘춘향가’ 완창 공연을 연다. 국립극장의 완창판소리 송년 무대에서 안 명창의 스승인 만정 김소희의 소리를 계승하는 유수정 전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서정금 국립창극단 단원, 소리꾼 이선희·박민정·박자희과 함께 만정제 ‘춘향가’를 부른다. 지난 9월 문화재청이 안 명창을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로 인정한 이후 펼치는 첫 완창 공연이라는 점에서 더욱 기대를 모은다.

안 명창은 1986년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무대에 오른 이래 30회 넘게 출연했다. 이 무대에서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등 판소리 다섯 바탕을 모두 완창했다. 2010년부터는 매년 12월 송년판소리 무대에 서 왔다.

안 명창이 약 10년 만에 부르는 만정제 ‘춘향가’는 김소희 명창(1917~1995)의 호 ‘만정’에서 명명한 ‘춘향가’의 한 유파다. 김소희의 대표 소리로 꼽히는 ‘춘향가’는 다른 유파보다 춘향의 비극적인 상황이 두드러진다. 안 명창은 맑고 우아한 소리 색채와 정확한 음정, 절제미 등에서 스승의 소리와 가장 닮았을 뿐 아니라, 삶과 예술을 대하는 정신까지 이어받은 소리꾼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무대에서는 박자희가 공연의 문을 연다. ‘춘향가’의 백미인 ‘사랑가’까지 들려준다. 이어 국립창극단 중견 단원 서정금이 ‘이별가’의 초반까지 부르고, 안 명창이 무대에 올라 애절한 이별 장면의 절정을 들려준다. 네 번째 주자인 박민정이 신관 사또로 부임한 변학도의 ‘기생점고’ 대목까지 선보이고, 유수정이 춘향의 ‘십장가’부터 ‘옥중가’ 전까지 부른 후 판소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소리꾼 이선희가 마지막을 장식한다. 고수는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고법 보유자 김청만과 국립창극단 기악부장 조용수가 번갈아 맡는다.

안 명창은 “판소리 ‘춘향가’에는 기쁨과 슬픔 그리움 환희 행복 등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녹아있다”며 “화사하면서도 웅장하고 때로 가벼우면서도 무거운 것이 ‘춘향가’의 매력”이라고 전했다. 국립극장 관계자는 “이번 공연은 신분과 성별의 차별을 겪으면서도 끝까지 굴복하지 않은 춘향의 이야기를 통해 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돌아보고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태형 문화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