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세 낮추면 노동자도 혜택"
김 수석은 삼성전자의 법인세 실효세율(21.5%, 이하 2020년 기준)과 대만 TSMC의 실효세율(11.5%)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반도체 기업만 하더라도 우리가 실효세율이 두 배 가까이 더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외국 기업은 해외에 자회사를 설립할 때 인프라, 규제 외에도 법인세를 비교해 선택한다”며 법인세 인하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동안 여야 예산안 협상과 관련해 의견 표명을 자제하던 대통령실이 직접 의견을 낸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김 수석은 법인세 인하가 경제 활성화로 이어진 해외 사례도 들었다. 그는 “미국과 프랑스 등 법인세를 인하한 사례를 보면 기업 투자가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며 “영국도 법인세 개편 이후 독일과 프랑스 등 경쟁국 대비 빠른 성장세로 외국 투자와 고용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또 이명박 정부가 2008년 법인세 최고세율을 25%에서 22%로 내린 사례를 언급하며 “법인세 인하 경제 효과로 설비투자와 고용이 늘어난 바 있다”고 강조했다.
김 수석은 “국내 주요 기업의 소액 주주만 1000만 명에 달한다. 법인세 인하 혜택은 소액 주주와 노동자, 협력 업체에 골고루 돌아간다”며 “기업을 살리고 경기가 더 어려울 때 더 힘든 약자의 손을 잡고 함께 서는 것과 비상경제에 대응하는 것은 모두 내년도 국가예산에서 출발한다”고 덧붙였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