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다음달 설 연휴를 전후해 대중교통과 의료기관 등 일부를 제외하고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따라 단계적으로 실내마스크 의무를 풀겠다는 의미다.

18일 방역당국과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는 일부 시설을 제외하고 실내마스크 착용을 의무에서 권고로 조정한 뒤 모든 시설에 대해 전면 해제하는 방식으로 실내마스크 착용 의무 조치를 푸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오는 2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 같은 조정안을 발표한다.

정부는 실내마스크 해제를 2단계 또는 3단계에 걸쳐 추진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대중교통, 복지시설, 의료기관을 제외하고 실내마스크 의무를 해제하고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의무를 완전히 없애는 방안이 거론된다.

밀접·밀집·밀폐 등 ‘3밀(密)’ 환경인지, 감염취약층 보호가 필요한지 등이 제외 시설을 정하는 기준이다. 학교와 어린이집 등 교육·보육기관, 공공기관 등이 1단계에서 의무가 해제되는 대상으로 꼽힌다. 그동안 마스크 착용이 어린이들의 언어·사회성 습득 등에 장애가 된다는 이유로 교육계에서 어린이 마스크 착용 의무부터 없애자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정부 관계자는 “발표 시점에서 식당이나 어린이집 같은 일부 시설의 착용 의무를 없애는 것을 포함한 3단계 조정을 하자는 주장도 있다”며 “향후 전문가 논의 과정에서 방향이 정해질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19 확산세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 17일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5만8862명이었다. 1주일 전인 11일(5만4298명)보다 4564명 많다.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520명으로 전날(468명)보다 52명 늘었다. 위중증 환자 수가 500명대를 기록한 것은 올 9월 19일(508명) 이후 90일 만이다.

김정은 기자 likesmil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