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오전 10시 17분 현재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4.00포인트(0.16%) 오른 32,974.46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7.90포인트(0.21%) 하락한 3,844.46을, 나스닥지수는 80.99포인트(0.76%) 떨어진 10,624.43을 나타냈다.
이번 주 시장을 움직일 재료가 많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내년 금리 인상 위험, 그에 따른 경기 침체 가능성 등을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지난주 3대 지수는 모두 하락 마감했으며 특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3~4%가량 하락했다.
이번 주 후반 나오는 11월 개인 소비지출(PCE)가격지수가 내년 금리 인상 기대를 낮춰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미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내년 2월과 3월 회의에서 금리를 각각 25bp씩 인상한 후 내년 하반기에는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이는 연준 당국자들이 예상한 것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연준 위원들은 내년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아왔지만,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하락하고, 경기가 침체에 직면할 경우 연준이 방향 전환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기대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중국의 상황도 부담이다.
중국에서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폭증할 경우 봉쇄 조치가 강화돼 경제를 다시 짓누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성장 회복이 지연될 경우 세계 경제에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S&P500 지수 내 기술, 통신, 임의소비재, 부동산 관련주가 하락하고, 에너지, 필수소비재, 산업, 금융 관련주는 올랐다.
개별 종목 중에 테슬라의 주가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 대표 사임 여부를 묻는 트위터 설문을 진행, 과반이 사임에 찬성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0.5%가량 올랐다.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의 주가는 유럽연합(EU)이 메타가 반독점 금지법을 위반했다는 예비 의견을 내놓으면서 2.8%가량 하락했다.
엑손모빌의 주가는 파이퍼 샌들러가 내년 최선호주로 선정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1% 이상 올랐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당분간 시장이 침체 위험을 주시할 것으로 예상했다.
비.라일리 파이낸셜의 아트 호건 수석 시장 전략가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연준이 과도한 긴축에 나서 경제를 침체로 몰고 갈 것이라는 우려와 걱정했던 것보다 나은 경제 지표 사이에서 시장이 줄다리기하고 있다"라며 "이러한 줄다리기는 내년 연준이 최종금리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될 것 같다"라고 말했다.
그는 연준이 인플레이션과 맞서 싸우면서 내년까지 부진한 경제 지표 추세가 계속될 것 같다면서도 "완만한 침체는 하반기 더 나은 주가 반등에 일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럽증시는 오름세를 보였다.
독일 DAX지수는 0.36% 올랐고, 영국 FTSE지수는 0.54% 상승했다.
프랑스 CAC 지수는 0.60% 올랐고, 범유럽지수인 STOXX600 지수는 0.41% 오르고 있다.
국제유가도 상승했다.
내년 1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장보다 1.86% 오른 배럴당 76.67달러에, 내년 2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보다 1.87% 상승한 배럴당 80.54달러를 나타냈다.
신한투자증권은 올 상반기 중 개인, 기업 고객 대상 일반환전 업무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기존에는 신한투자증권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통해 증권투자 목적으로만 환전이 가능했지만, 서비스 출시 이후 수출입 기업 환전과 유학, 여행 등 일반 목적 환전까지 확대된다.기획재정부는 2023년 7월 증권사(종합금융투자사업자)도 개인 및 기업 고객 대상 일반환전업무가 가능하도록 외국환거래 규정을 신설한 바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해 9월 국내 증권사 중 두 번째로 일반환전 인가를 획득했다.신한투자증권은 신한은행 ATM에서 외화 현찰 인출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코스피가 종가기준으로 2600선을 돌파했다. 작년 10월29일 이후 약 석달 반 만이다.17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9.37포인트(0.75%) 오른 2610.42에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부터 2600선에서 공방을 벌이며 저항선 돌파를 시도하다가 오전 10시30분께 돌파했다. 이날 기관이 유가증권시장에서 2163억원어치 주식을 사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05억원어치와 2241억원어치를 팔았다. 다만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을 1610억원어치 사들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였다.삼성전자는 보합이었고, SK하이닉스는 0.95% 올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도 0.42% 상승했다.LG에너지솔루션은 장중 강세를 보였지만, 강보합권에서 마감됐다.반면 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3.01%와 0.74%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관세를 언급한 영향으로 보인다. HD현대중공업도 조정이 이어지며 2.39% 하락했다.코스닥은 전일 대비 12.16포인트(1.61%) 오른 768.48에 마감됐다. 이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609억원어치 주식을 산 반면, 기관과 개인은 각각 303억원어치와 199억원어치를 팔았다.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체로 상승했다.알테오젠 1.14%, HLB 5.04%, 삼천당제약 3.37% 등 바이오주가 강세였다.특히 클래시스는 10.08%나 급등했다.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도 각각 2.03%와 2.64% 상승했다.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0.75%, 리가켐바이오는 1.1% 하락했다.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0.1원(0.01%) 내린 달러당 1441.8원에 거래되고 있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
신풍제약이 급락하고 있다. 코로나19 치료제 후보의 임상 결과를 미리 알고 주식을 팔아 손실을 회피한 혐의로 창업주 2세인 장원준 전 대표와 지주사 송암사가 검찰에 고발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17일 오후 2시8분 현재 신풍제약은 전일 대비 980원(9.56%) 내린 9270원에 거래되고 있다.말라리아 치료제 피라맥스의 임상 실패를 미리 알고 장 전 대표가 송암사가 보유한 신풍제약 주식 매도를 결정했다는 금융당국의 판단이 알려진 영향이다.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지난 12일 제3차 정례회의를 열고 신풍제약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관련 비공개 내부정보를 이용해 손실을 회피한 창업주 2세(장원전 전 대표)와 지주사(송암사)를 자본시장법상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 금지 위반으로 검찰에 고발조치하기로 의결했다고 이날 밝혔다.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