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지난 10월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이후 53일 만에 첫 현장조사에 나섰다. 우상호 특위 위원장이 21일 참사가 발생한 서울 이태원동 해밀톤호텔 옆 골목길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병언 기자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지난 10월 이태원 참사가 벌어진 이후 53일 만에 첫 현장조사에 나섰다. 우상호 특위 위원장이 21일 참사가 발생한 서울 이태원동 해밀톤호텔 옆 골목길에서 발언하고 있다. /김병언 기자
국회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21일 첫 현장 조사에 나섰다. 지난 10월 29일 참사가 벌어진 이후 53일 만이다.

특위 위원들은 이날 오전 서울지하철 6호선 녹사평역에 마련된 합동분향소 조문으로 현장조사 일정을 시작했다. 특위 위원들이 분향소에 도착하자 일부 유족은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인근에선 보수 성향 단체인 신자유연대가 국정조사 반대 집회를 열고 있었다.

조문을 마친 특위 위원들은 참사가 벌어진 해밀톤호텔 옆 골목길을 찾았다. 우상호 특위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얼마나 고통스럽게 유명을 달리했을지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하다”며 “재발방지 대책을 만드는 국정조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특위 위원들은 참사 현장에서 소방당국으로부터 사고 경위를 보고받은 뒤 이태원파출소로 자리를 옮겼다. 그곳에서 참사 당시 경찰 대응이 적절했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오후에는 서울경찰청과 서울시청을 조사했다.

특위는 지난 11일 더불어민주당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해임건의안 처리에 반발해 여당 위원 7명 전원이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활동이 사실상 중단됐다. 그러다 20일 국민의힘이 유가족과의 면담 직후 복귀를 결정하면서 특위가 재가동됐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실 주호영 원내대표와 오래전부터 국정조사에 참여해야 한다고 얘기를 모아왔다”고 전했다.

특위가 가까스로 정상화됐지만 활동 기간과 증인 범위를 두고 여야 갈등은 여전하다. 야당은 다음달 7일 종료를 앞둔 활동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여당은 ‘연장 불가’로 맞서고 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장관 파면과 관련자에 대한 엄중한 문책을 지금 당장 시행해야 한다”고 여당을 압박했다.

특위는 23일 용산구청과 행안부를 현장조사한다. 27일에는 국무총리실, 대통령실 국정상황실 등을 대상으로 1차 기관 보고를 받는다. 청문회는 다음달 2일과 4일, 6일 세 차례 열린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