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는 이날 오전 10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사면심사위원회를 열고 올해 연말 특사 대상자를 심사 중이다.
외부 위원으로 회의에 참석한 구본민 변호사는 심사 기준과 쟁점 등을 묻는 취재진에 "철저히 심사하겠다"고 답한 뒤 회의장으로 향했다.
심사위는 위원장인 한동훈 법무부 장관을 비롯해 이노공 차관, 신자용 검찰국장, 김선화 대검 공판송무부장 등 당연직 4명과 교수·변호사 등 위촉직 외부 위원 5명 등 총 9명으로 구성됐다.
심사위가 특사 건의 대상자를 선별하면 한 장관이 그 결과를 사면권자인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한다.
윤 대통령은 27일 국무회의를 주재해 명단을 확정한 뒤 28일 자로 사면을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이 전 대통령의 사면을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다. 이 전 대통령은 지난 8월 광복절 특사에서 제외된 바 있다. 이 전 대통령의 남은 형기는 약 15년이다.
야권의 대표적 '친문'(친 문재인) 정치인인 김 전 경남지사의 사면 여부도 관심이다. 김 전 경남지사는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으로 지난해 7월 대법원에서 징역 2년 형이 확정돼 내년 5월 만기 출소를 앞두고 있다.
김 전 경남지사의 경우 형기가 얼마 남지 않아 잔여형 면제보다는 복권 여부가 주목된다. 김 전 경남지사가 복권되면 정치적 재기를 노릴 수 있으나, 복권이 무산되면 2028년 5월까지 피선거권이 제한된다.
김 전 경남지사는 복권 없는 잔여형 면제 가능성이 거론되자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을 통해 "MB(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의 들러리가 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여권에서는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남재준·이병기·이병호 전 국가정보원장, 야권에서는 전병헌 전 청와대 정무수석 등의 특사 가능성도 거론된다.
재계에서는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그룹 회장, 최지성 전 삼성전자 미래전략실장 등의 사면을 기대하고 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