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지사 "내년 공익형 일자리 1만개+α" 늘리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공익형 노인일자리 사업은
취약계층 보호, 서민복지
올해 9만6000개서 10만5000개로
"예산 더 오면 더욱 늘릴 것"
예산안 감액했던 정부 비판도
취약계층 보호, 서민복지
올해 9만6000개서 10만5000개로
"예산 더 오면 더욱 늘릴 것"
예산안 감액했던 정부 비판도

김 지사는 이날 수원시 밤밭노인복지관을 방문해 어르신들과 간담회를 연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내년에 경기가 안 좋을 텐데 그런 상황에서 도가 할 수 있는 산업과 관련된 부분과 일자리를 많이 신경쓰고 있다.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이날 복지관에서 탁구와 당구, 바둑 등 취미를 즐기는 노인들과 만나 대화를 나눴다. 복지관 내 식당에서 배식 봉사도 했다.
김 지사는 배식 봉사 후 식사를 하며 조성호 밤밭노인복지관장과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했던 어르신들과 대화를 나눴다.
한 어르신이 "서류를 넣을 때보니 일자리가 줄은 것 같다"고 하자. 김 지사는 "중앙정부에서 깎은 예산을 채우고도 더 넣었다"며 "더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다른 어르신은 "우리는 절실하다"며 "노인은 오라는 데도 갈 데도 없다"며 "일을 하게 해준다는 것 자체가 고마운 일"이라고 말했다. 조 관장은 "계약직 직원 두 사람이 300여명 어르신을 담당하는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건의했다.
정부는 당초 공익형 노인일자리 예산을 축소하고, 민간형으로 전환할 계획을 마련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와 노년층의 반발이 심해지자 결국 예산을 '원상 복구'했다. 전국적으로는 공익형 노인일자리를 올해 수준인 60만8000개 만들기로 했다.
김 지사는 일찌감치 '공익형 노인 일자리는 민생 경제와 밀접한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사업'이라며 예산 삭감을 반대해왔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에 대해 "애초 정부 예산안은 '삭감'이었고, (결국) 공공일자리의 경우 일부 증액됐는데 저희(도) 계산에 따르면 경기도의 경우 줄어든 일자리 예산(국비)이 올 것(배정될 것)같다"며 "이미 편성해놓은 예산을 기초로 내년에 금년보다 더 많은 일자리 예산을 집행하고, (이후) 중앙정부 예산이 증액된 부분이 있다면 추가해서 노인 일자리 사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경기도는 내년 노인 무료급식의 질을 높이고, 물가상승을 반영해 내년도 급식 지원 단가도 인상하겠다는 계획을 함께 발표했다. 경로당 디지털 서포터즈(도우미)를 늘리고 공공노인요양시설과 응급안전 확대, 공공노인요양시설 확충 및 어르신의 일상을 살피는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확대도 추진키로 했다.
수원=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