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세난 더 심해질 듯
![](https://img.hankyung.com/photo/202212/AA.32224807.1.jpg)
시·도별로는 경기(10만9090가구), 인천(4만4984가구), 대구(3만6059가구), 충남(2만6621가구), 서울(2만5729가구) 순으로 입주 물량이 많다.
인천은 올해(4만2515가구)에 이어 내년(4만4984가구)에도 4만 가구 이상이 쏟아진다. 특히 내년에는 2000년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다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구도심 정비사업 아파트와 검단신도시 물량이 많다. 서울은 내년 입주하는 2만5729가구 중 6371가구(25%)가 강남구 물량이다. 전세 수요가 둔화한 가운데 개포자이프레지던스(3375가구, 내년 2월 입주) 입주 여파로 인근 개포동과 대치동의 전셋값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
지방은 △대구(3만6059가구) △충남(2만6621가구) △부산(2만4762가구) △경남(1만5221가구) △충북(1만2252가구) △경북(1만1231가구) 등의 물량이 많다. 2000년 조사 이후 최다 물량이 공급되는 대구는 입주 아파트의 절반 이상인 1만8900가구(52%)가 재개발·재건축 등 정비사업으로 공급된다. 대구에서 한 해에 정비사업으로 1만 가구 이상 공급되는 것은 내년이 처음이다.
높은 대출 이자 부담으로 전세수요가 둔화한 가운데 내년에는 역전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관측이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보증금 미반환 문제로 새 아파트 잔금을 치르지 못하는 사례가 늘 수 있다”며 “다만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적용 주택에 대한 실거주 의무 완화, 임차보증금 반환 목적 주택담보대출 규제 완화 방안을 내놓은 만큼 대책 시행 시 역전세 우려가 일부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