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바이오·2차전지 외국인 인력 늘린다…법무부, 비자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외국인 전문인력 비자 제도 개선

법무부는 우선 첨단산업 분야 취업자 및 고소득자를 위한 ‘네거티브 방식 비자’(E-7-S)를 신설한다. 그간 외국인 전문인력 비자는 93개 직종에 한해 비자 발급을 허용했다. 그러나 새로 생겨나는 산업과 직종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아울러 숙련기능인력 비자(E-7-4) 연간 발급 인원을 올해 2000명에서 내년 5000명으로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노무 분야에서 5년 이상 일한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어능력, 소득, 경력 등을 점수로 평가해 선별적으로 장기 취업을 허용하는 제도다.
연간 비자 발급 인원이 제한돼 있기 때문에 그동안 산업계에선 “기술력을 갖춘 기능인력에 대한 비자 발급을 확대해 달라”는 요구가 제기돼 왔다. 법무부는 연간 발급 인원을 확대하되, 선발과정에서 불법 체류 전력이 있는 외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은 제한하기로 했다.
법무부는 해외에 진출했다가 국내에 복귀하는 기업이 현지에서 고용한 외국인을 국내에서 재고용하기 위한 비자 요건도 완화했다. 호텔별 고용 외국인의 비자 발급 허용 인원은 최대 2명에서 5명으로 확대한다. 기존에는 설립 후 3년이 지난 조선업체만 외국인 용접공 초청 비자를 신청할 수 있었지만 이제 신생기업도 연평균 매출액 10억원 이상 등의 요건만 충족하면 초청 비자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한동훈 법무부장관은 “향후 이민․출입국 정책의 주된 방향은 비숙련 인력이 아닌 숙련기능인력, 첨단 과학 인재를 유치하여 국가 발전에 자발적으로 기여하게 하는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불법체류를 철저히 막는 등 체류질서도 엄정히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