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덕분에 단 4명이서 돼지 7200마리 키우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FTA 20년 변경의 개척자들
(4) 70대 양돈인 이성권씨
AI로 24시간 돼지 건강 파악
2~3명분 인건비 아낄수 있어
사람이 알기 힘든 병 쉽게 확인
한해 수익 60억~70억원 올려
FTA로 구조조정 우려 컸지만
대형화, 축사 자동화로 승부
(4) 70대 양돈인 이성권씨
AI로 24시간 돼지 건강 파악
2~3명분 인건비 아낄수 있어
사람이 알기 힘든 병 쉽게 확인
한해 수익 60억~70억원 올려
FTA로 구조조정 우려 컸지만
대형화, 축사 자동화로 승부
“인공지능(AI) 기술이 가장 필요한 곳이 바로 축산농가입니다. 돼지 7200마리 키우는 데 직원 네 명이면 충분합니다.”
이성권 리앤팜 회장(72)은 세종시와 충남 공주시, 경기 화성시에 축사를 짓고 1년에 4만5000마리의 돼지를 길러 판매하는 양돈인이다. 연간 매출은 200억~250억원. 사료값과 인건비 등을 제외하고 남는 순수익은 1년에 60억~70억원이라고 한다. 육군3사관학교를 졸업해 1981년 전역할 때까지 돼지라고는 키워본 적도 없고 물려받은 재산도 없었다던 그가 한평생 양돈에 전념해 일군 성과다.
이 회장이 세종에서 양돈업에 처음 뛰어든 것은 1987년. 그는 2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퇴직금을 다 털어넣어 전국에서 좋아 보이는 돼지 새끼들을 골라 사모아 시작했다”며 “처음엔 거의 비닐하우스나 다름없는 곳에서 분뇨를 직접 손으로 치워가며 500마리의 돼지를 길렀다”고 했다.
영세한 돼지 농장주였던 이 회장이 본격적으로 사업 규모를 키운 것은 2010년부터다. 이 회장은 “1994년 우루과이 라운드 때문에 전국적으로 돼지 농가가 한 차례 구조조정이 됐는데, 미국 등과의 자유무역협정(FTA)까지 발효되면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봤다”며 “정부로부터 현대화사업 자금 10억원을 받아 기존 농장을 헐고 현대식 축사를 지었다”고 했다.
2012년 준공한 새 축사는 분뇨 처리를 자동화했고, 폐쇄회로TV(CCTV)로 돼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했다. 자연스럽게 사업 규모는 커졌다. 돼지는 새끼를 낳는 ‘모돈(母豚)’과 살을 찌워 식용으로 파는 ‘비육돈’으로 나뉘는데, 모돈 수가 100두에서 350두로 불어났다. 돈을 모은 이 회장은 2012년 공주에 축사를 새로 지었다. 세종 축사는 모돈 350두에 비육돈 2400두 규모이고, 공주 축사는 비육돈만 3600두다. 이 회장은 “FTA로 분명 사업의 부침은 있었지만 대형화한 덕분에 위기를 극복하고 사업을 더 키울 수 있었다”고 했다.
이 회장은 최근엔 한국축산데이터가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을 양돈에 접목해 규모의 경제를 더욱 키우고 있다. 지난해엔 축사 시공 단계부터 AI가 반영된 축사를 화성에 지었다. 비육돈 7200두를 키우는 화성 축사에서 일하는 직원은 단 4명. 사람이 아닌 AI가 24시간 돼지의 몸무게를 측정하고 움직임을 분석해 돼지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때문에 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회장은 “2~3명분의 인건비를 절감한 것은 물론 사람이 파악하기 힘든 병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죽을 뻔한 돼지를 많이 살렸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화성 농장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충남 보령시에 또 다른 축사를 짓고 있다. 내년 4월 준공 예정인 보령 축사는 AI를 접목한 것은 물론 양돈 강국인 덴마크의 축사 건축기법에 따라 건설되고 있다.
이 회장은 “덴마크의 양돈 기술을 익히기 위해 아들과 함께 덴마크를 견학한 것은 물론 한국에서도 덴마크 농장으로부터 컨설팅받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정의진 기자
제작 지원=FTA이행지원 교육홍보사업
이성권 리앤팜 회장(72)은 세종시와 충남 공주시, 경기 화성시에 축사를 짓고 1년에 4만5000마리의 돼지를 길러 판매하는 양돈인이다. 연간 매출은 200억~250억원. 사료값과 인건비 등을 제외하고 남는 순수익은 1년에 60억~70억원이라고 한다. 육군3사관학교를 졸업해 1981년 전역할 때까지 돼지라고는 키워본 적도 없고 물려받은 재산도 없었다던 그가 한평생 양돈에 전념해 일군 성과다.
이 회장이 세종에서 양돈업에 처음 뛰어든 것은 1987년. 그는 2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퇴직금을 다 털어넣어 전국에서 좋아 보이는 돼지 새끼들을 골라 사모아 시작했다”며 “처음엔 거의 비닐하우스나 다름없는 곳에서 분뇨를 직접 손으로 치워가며 500마리의 돼지를 길렀다”고 했다.
영세한 돼지 농장주였던 이 회장이 본격적으로 사업 규모를 키운 것은 2010년부터다. 이 회장은 “1994년 우루과이 라운드 때문에 전국적으로 돼지 농가가 한 차례 구조조정이 됐는데, 미국 등과의 자유무역협정(FTA)까지 발효되면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봤다”며 “정부로부터 현대화사업 자금 10억원을 받아 기존 농장을 헐고 현대식 축사를 지었다”고 했다.
2012년 준공한 새 축사는 분뇨 처리를 자동화했고, 폐쇄회로TV(CCTV)로 돼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했다. 자연스럽게 사업 규모는 커졌다. 돼지는 새끼를 낳는 ‘모돈(母豚)’과 살을 찌워 식용으로 파는 ‘비육돈’으로 나뉘는데, 모돈 수가 100두에서 350두로 불어났다. 돈을 모은 이 회장은 2012년 공주에 축사를 새로 지었다. 세종 축사는 모돈 350두에 비육돈 2400두 규모이고, 공주 축사는 비육돈만 3600두다. 이 회장은 “FTA로 분명 사업의 부침은 있었지만 대형화한 덕분에 위기를 극복하고 사업을 더 키울 수 있었다”고 했다.
이 회장은 최근엔 한국축산데이터가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을 양돈에 접목해 규모의 경제를 더욱 키우고 있다. 지난해엔 축사 시공 단계부터 AI가 반영된 축사를 화성에 지었다. 비육돈 7200두를 키우는 화성 축사에서 일하는 직원은 단 4명. 사람이 아닌 AI가 24시간 돼지의 몸무게를 측정하고 움직임을 분석해 돼지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때문에 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회장은 “2~3명분의 인건비를 절감한 것은 물론 사람이 파악하기 힘든 병을 실시간으로 확인해 죽을 뻔한 돼지를 많이 살렸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화성 농장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충남 보령시에 또 다른 축사를 짓고 있다. 내년 4월 준공 예정인 보령 축사는 AI를 접목한 것은 물론 양돈 강국인 덴마크의 축사 건축기법에 따라 건설되고 있다.
이 회장은 “덴마크의 양돈 기술을 익히기 위해 아들과 함께 덴마크를 견학한 것은 물론 한국에서도 덴마크 농장으로부터 컨설팅받고 있다”고 밝혔다.
세종=정의진 기자
제작 지원=FTA이행지원 교육홍보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