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자율주행차 반도체 2000개…ICT회사처럼 치밀해져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차그룹 '타운홀 미팅' 신년회
"조직문화 혁신" 강력 주문
사장단과 함께 전략 설명 '파격'
고인물처럼 변화 멈추면 쉽게 오염
자동차 넘어 IT융합제품 만들자
나도 예전엔 MZ, 그땐 의견 못내
이젠 젊은 목소리 적극 반영해야
경직된 보고 대신 '생각' 말하라
"조직문화 혁신" 강력 주문
사장단과 함께 전략 설명 '파격'
고인물처럼 변화 멈추면 쉽게 오염
자동차 넘어 IT융합제품 만들자
나도 예전엔 MZ, 그땐 의견 못내
이젠 젊은 목소리 적극 반영해야
경직된 보고 대신 '생각' 말하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3일 연구개발(R&D)의 심장인 남양연구소에서 그룹 신년회를 열어 “자동차회사지만 어떤 전자기업보다도 치밀하고 꼼꼼한 조직문화를 조성하자”고 주문했다. 코로나19 이후 3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열린 이번 신년회는 정 회장의 제안으로 그룹 수뇌부와 남양연구소 임직원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진행됐다. 경기 침체에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고조되는 복합위기 속에서 생존을 위해 조직문화의 혁신을 이끌겠다는 정 회장의 의지로 풀이된다.
그는 조직문화 개선을 당부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전자기업과 조직문화를 비교하면서 현대차그룹의 변화를 콕 집어 주문했다. 정 회장은 “물이 고이면 썩는 것처럼 변화를 멈추면 쉽게 오염된다”며 “결과에 대한 두려움 없이 새롭게 시도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차 한 대에 200~300개 들어가는 반도체가 자율주행차 시대엔 2000개 이상으로 늘어난다”며 “자동차 제조회사지만 전자회사보다 더 치밀해지고 꼼꼼해져야 하는 게 현실”이라고 했다.
정 회장은 “(자동차 기업으로서) 우리만의 과감한 문화가 있지만, 전자회사들은 치밀한 문화가 있다”며 “우리에게 없는 문화는 우리가 조성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어떤 전자회사나 정보통신기술(ICT)기업보다 치밀한 융합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될 수 있다는 꿈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능력이 존중받고 원칙이 바로 서는 일터를 위해 지속적인 상시 인사를 시행하겠다”며 “변화무쌍한 조직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을 하겠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직원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저는 쉰 살이 넘었지만 MZ세대일 때가 있었다”며 “그때는 쉽게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듣기만 해야 하는 시기였지만 세상이 바뀌었고, 적극적으로 들으며 반영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 특유의 경직된 ‘보고 문화’도 꼬집었다. 정 회장은 과거 자신이 부친인 정몽구 명예회장에게 보고하던 방식을 예로 들었다. 그는 “자신의 생각과 결론을 먼저 얘기한 뒤 그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데, 어떤 직원은 자신의 생각과 결론 없이 상사에게 A·B·C 세 가지를 주고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며 “자신의 생각과 결론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박정국 사장은 “ICT기업 등 어떤 경쟁자도 쉽게 따라오지 못하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단순히 직원들의 실패를 용인하는 정도가 아니라 실패가 권리가 되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한신/김형규 기자 phs@hankyung.com
“치밀한 제품 위해 문화 변해야”
신년회에서 정 회장은 편한 복장을 하고 직원들 앞에서 신년사를 발표했다. 정 회장은 단상에 올라 “올해를 신뢰 구축과 도약의 시기로 삼자”고 당부했다.그는 조직문화 개선을 당부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전자기업과 조직문화를 비교하면서 현대차그룹의 변화를 콕 집어 주문했다. 정 회장은 “물이 고이면 썩는 것처럼 변화를 멈추면 쉽게 오염된다”며 “결과에 대한 두려움 없이 새롭게 시도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 차 한 대에 200~300개 들어가는 반도체가 자율주행차 시대엔 2000개 이상으로 늘어난다”며 “자동차 제조회사지만 전자회사보다 더 치밀해지고 꼼꼼해져야 하는 게 현실”이라고 했다.
정 회장은 “(자동차 기업으로서) 우리만의 과감한 문화가 있지만, 전자회사들은 치밀한 문화가 있다”며 “우리에게 없는 문화는 우리가 조성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어떤 전자회사나 정보통신기술(ICT)기업보다 치밀한 융합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될 수 있다는 꿈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정 회장은 “능력이 존중받고 원칙이 바로 서는 일터를 위해 지속적인 상시 인사를 시행하겠다”며 “변화무쌍한 조직문화가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을 하겠다”고 말했다.
직원과 타운홀 미팅 신년회 ‘파격’
이날 신년회는 여러모로 파격적인 형식으로 진행됐다. 정 회장의 발표가 끝난 뒤 장재훈 현대차 사장과 송호성 기아 사장, 박정국 그룹 연구개발본부 사장과 송창현 차량소프트웨어담당 사장이 단상에 올랐다. 사장들은 각자가 맡은 분야의 한 해 전략을 설명한 뒤 정 회장과 함께 직원들의 질문을 받았다. 장 사장이 사회를 보면서 행사를 진행했다. 정 회장과 사장단이 함께 직원들과 신년 타운홀 미팅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정 회장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직원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저는 쉰 살이 넘었지만 MZ세대일 때가 있었다”며 “그때는 쉽게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듣기만 해야 하는 시기였지만 세상이 바뀌었고, 적극적으로 들으며 반영해야 하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현대차그룹 특유의 경직된 ‘보고 문화’도 꼬집었다. 정 회장은 과거 자신이 부친인 정몽구 명예회장에게 보고하던 방식을 예로 들었다. 그는 “자신의 생각과 결론을 먼저 얘기한 뒤 그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데, 어떤 직원은 자신의 생각과 결론 없이 상사에게 A·B·C 세 가지를 주고 하나를 고르라고 한다”며 “자신의 생각과 결론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박정국 사장은 “ICT기업 등 어떤 경쟁자도 쉽게 따라오지 못하는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단순히 직원들의 실패를 용인하는 정도가 아니라 실패가 권리가 되는 문화를 조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한신/김형규 기자 p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