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자동차 OS, 니콘은 로봇 팔…'업의 경계' 허문 혁신기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CES 2023
한경·KAIST 특별취재
CES 2023 준비현장 가보니
모빌리티 전시관 면적 25% 증가
최대 규모에도 전체 부스 매진
아마존은 전기차 코너 준비
MS도 자체 모빌리티 기술 개발
SK, 친환경 주제로 부스 꾸려
배터리사 파나소닉도 '그린' 강조
한경·KAIST 특별취재
CES 2023 준비현장 가보니
모빌리티 전시관 면적 25% 증가
최대 규모에도 전체 부스 매진
아마존은 전기차 코너 준비
MS도 자체 모빌리티 기술 개발
SK, 친환경 주제로 부스 꾸려
배터리사 파나소닉도 '그린' 강조

2일(현지시간) CES 개막을 앞둔 미국 라스베이거스컨벤션센터(LVCC). 발을 어디에 디뎌야 할지 알 수가 없었다. 공사 자재를 나르는 지게차가 쉴 틈 없이 오가고, 사람이 걸어가야 할 길에는 각종 쓰레기와 상자, 자재류가 뒤섞여 걸어갈 공간이 나오지 않았다.
가전보다 모빌리티 기업에 ‘관심’

모빌리티 전시구역인 웨스트홀은 이전보다 면적을 25% 늘렸음에도 모든 부스가 매진됐다. 톱밥이 날아다니는 웨스트홀에 들어섰을 때 가장 먼저 눈을 사로잡은 것은 ‘농기계의 테슬라’로 불리는 존디어의 초대형 자율주행 트랙터였다. 현장 직원은 “스스로 밭을 갈고 잡초를 발견하면 제초제를 뿌리는 기계”라고 했다.

작년 코로나를 이유로 CES 오프라인 행사에 불참했던 구글은 올해 대규모 야외 전시관을 마련했다. 높이 약 8m 크기로 설치된 거대 화면에선 ‘당신의 스마트폰에서 당신의 차로’라는 문구와 함께 구글의 자동차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오토’가 구현된 모습이 시험 재생되고 있었다. 구글은 관람객이 안드로이드 오토를 체험할 수 있도록 차량 2대도 함께 배치할 예정이다. MS도 이번 ‘CES 2023’에서 자체 모빌리티 기술과 서비스를 알리기 위한 전시관을 준비했다.
올해도 전시장은 ‘친환경’ 물결

창사 후 처음으로 CES에 참여하는 롯데케미칼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술을 선보인다. 롯데케미칼은 서울시와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운영하는 서울관에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바나듐이온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스템(VIB ESS) 등 미래 기술을 전시한다. LG전자는 전시관 내에 ‘모두의 더 나은 삶 존’(ESG존)을 별도로 마련했다. 일본의 파나소닉 등 배터리 회사들도 ‘그린’ 성격의 부스를 조성했다.
라스베이거스=강영연/김일규/배정철/빈난새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