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 북한학硏 분석…지도체계 확립하고 재해예방사업 총동원
"北, 작년 재해 관리체계 대폭 보강…피해도 줄어"
북한이 지난해 재해 관리체계를 대대적으로 재정비했고, 실제 재해 피해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왔다.

허정필 동국대 북한학연구소 연구위원은 6일 연구소가 개최한 '2023년 신년포럼과 북콘서트'에서 '김정은 시대 북한 재해관리: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평가했다.

허 연구위원은 "2020년 집중호우(80㎜ 이상/1일)로 인한 주요 피해지역이 2022년에도 유사했지만, 북한의 자연재해 방지-구조복구 관리 체계 발전으로 2020년과 같은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지난해 개성의 경우 2020년 대비 강수량이 많았는데 2020년과 같은 대규모 수해 피해는 보도되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

북한은 2020년 여름 '바비' '마이삭' '하이선' 등 연이은 태풍으로 최대 곡창지대인 황해도 등에 큰 수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처럼 피해가 감소한 배경에는 재해 관리체계를 구축하려는 각종 노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21년 9월 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모든 시·군들에서 자체의 힘으로 국토관리 사업을 강력히 추진해 자기 지역을 그 어떤 자연재해에도 끄떡없게, 안전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북한은 지난해 연초부터 자연재해에 대비하고자 각종 조직과 사업을 총동원하고 지도체계를 확립했다고 허 연구위원은 전했다.

각지에서 국토관리사업을 추진해 재해 예방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 비상설 재해방지대책위원회'를 소집해 재해 관리체계를 점검했다.

또 모내기 철인 5월에는 가뭄 등 재해 발생에 대비하기 위한 현장 점검 회의를 진행하거나 중앙과 도, 시, 군에 '비상재해위기대응 지휘조'를 조직해 주요 지시를 하달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北, 작년 재해 관리체계 대폭 보강…피해도 줄어"
아울러 2014년 제정된 '재해방지 및 구조, 복구법'을 수정 보충해 법적 보완에 나섰다고 허 연구위원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 내각 산하로 재해 구조·복구 활동에 초점을 맞췄던 '국가 비상설 재해방지대책위원회'가 별도 기구로 독립해 재해 방지부터 구조·복구까지 총괄하게 됐다.

또 재해 관리 범위가 확대되고 재해방지계획을 전략 수준으로 격상시켰으며 보고 체계를 세분화해 확립했다.

자연재해의 배경인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관심 증가도 보도 경향에서 확인된다.

허 연구위원 분석에 따르면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의 기사 본문에 '기후'라는 단어가 보도된 건수는 김정은 집권 초기 2012년 150여 개에서 지난해 기준 430여 개로 증가했다.

연이은 태풍이 닥친 해를 보내고 맞은 2021년에는 약 570건으로 가장 많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