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농민도 반대하고 나선 양곡법…민주당, 누굴 위해 고집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재명표 1호 입법’으로 불리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이 지난해 말 본회의에 부의돼 통과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정부와 여당은 물론 농민단체까지 반대하고 나섰다.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 등 6개 단체가 최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곡관리법 개정 재고를 촉구한 것이다. 이들은 “쌀 시장격리를 의무화하면 다른 작물 전환 유도가 쉽지 않을뿐더러 판로에 대한 부담이 사라져 쌀 생산량이 늘어날 것”이라며 “이는 정책 실패를 넘어 쌀 가격 하락에 따른 농가 경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고 했는데 맞는 말이다.
초과 생산한 쌀을 정부가 의무 매입하도록 하는 개정안이 시행되면 쌀 초과 생산량은 지난해 25만t에서 2030년 64만t으로 불어나고, 이를 사들여 처분하는 데 연평균 1조433억원의 세금이 든다는 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분석이다. 야당 주장처럼 가격 안정화에 기여하기는커녕 쌀 과잉 기조가 정착돼 쌀값이 현재보다 8% 이상 낮은 17만원(80㎏) 초반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국가적 과제인 식량안보도 물 건너간다. 안 그래도 남아도는 쌀 생산만 늘고 수입에 의존하는 밀·콩 재배율은 정체할 게 뻔해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7년 전체 식량자급률을 44.4%(2021년 기준)에서 55.5%로 올린다는 목표 아래 밀 1.1%, 콩 25% 수준인 자급률을 각각 7.9%, 40%로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쌀 시장격리가 의무화되면 2027년 자급률은 밀 4.0%, 콩 26.4%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그런데도 민주당은 자당 출신 무소속인 윤미향 의원을 끌어들여 의결정족수를 채우는 꼼수까지 동원해 양곡법 개정안을 직회부했다. 농민표를 노린 ‘표(票)퓰리즘’에만 혈안이 돼 우리 농업을 죽인다는 농민단체 호소와 한 해 1조원이 넘는 국민 부담은 아랑곳하지 않는 무책임의 극치다.
양곡법 개정안이 ‘농업파탄법’이 될 것이란 사실은 자명하다. 야당은 미래 농업을 망치는 개악안을 당장 멈춰야 한다. 그래도 강행하면 윤석열 대통령이 농식품부 업무보고 자리에서 시사한 대로 거부권을 행사하는 길밖에 없다.
초과 생산한 쌀을 정부가 의무 매입하도록 하는 개정안이 시행되면 쌀 초과 생산량은 지난해 25만t에서 2030년 64만t으로 불어나고, 이를 사들여 처분하는 데 연평균 1조433억원의 세금이 든다는 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분석이다. 야당 주장처럼 가격 안정화에 기여하기는커녕 쌀 과잉 기조가 정착돼 쌀값이 현재보다 8% 이상 낮은 17만원(80㎏) 초반에 머물 것으로 예상됐다.
국가적 과제인 식량안보도 물 건너간다. 안 그래도 남아도는 쌀 생산만 늘고 수입에 의존하는 밀·콩 재배율은 정체할 게 뻔해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7년 전체 식량자급률을 44.4%(2021년 기준)에서 55.5%로 올린다는 목표 아래 밀 1.1%, 콩 25% 수준인 자급률을 각각 7.9%, 40%로 늘릴 계획이다. 하지만 쌀 시장격리가 의무화되면 2027년 자급률은 밀 4.0%, 콩 26.4%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그런데도 민주당은 자당 출신 무소속인 윤미향 의원을 끌어들여 의결정족수를 채우는 꼼수까지 동원해 양곡법 개정안을 직회부했다. 농민표를 노린 ‘표(票)퓰리즘’에만 혈안이 돼 우리 농업을 죽인다는 농민단체 호소와 한 해 1조원이 넘는 국민 부담은 아랑곳하지 않는 무책임의 극치다.
양곡법 개정안이 ‘농업파탄법’이 될 것이란 사실은 자명하다. 야당은 미래 농업을 망치는 개악안을 당장 멈춰야 한다. 그래도 강행하면 윤석열 대통령이 농식품부 업무보고 자리에서 시사한 대로 거부권을 행사하는 길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