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임금 상승률 둔화에…원·달러 환율, 25원 급락 [외환시장 워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원·달러 환율이 전 거래일보다 25원 넘게 하락하면서 7개월 만에 1240원대를 기록했다.
원·달러 환율은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 대비 25원10전 내린 1243원50전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이 1240원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6월3일(1242원70전) 이후 처음이다. 하락 폭으로는 지난해 11월11일(59원10전) 이후 가장 큰 수준으로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이 급락한 것은 미국의 임금 상승률이 둔화한 데 따른 것이다. 미국 경기가 침체할 조짐으로 해석되면서 달러 약세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미국의 12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자 수는 22만3000명으로 시장 예상치인 20만 명을 웃돌았지만, 12월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전년 대비 4.6%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5.0%)와 전달치(4.8%)를 밑도는 수치다.
임금 상승세가 둔화하자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가 늦춰질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 이상 내리며 103대에서 거래됐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원·달러 환율은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 대비 25원10전 내린 1243원50전에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이 1240원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6월3일(1242원70전) 이후 처음이다. 하락 폭으로는 지난해 11월11일(59원10전) 이후 가장 큰 수준으로 떨어졌다.
원·달러 환율이 급락한 것은 미국의 임금 상승률이 둔화한 데 따른 것이다. 미국 경기가 침체할 조짐으로 해석되면서 달러 약세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미국의 12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자 수는 22만3000명으로 시장 예상치인 20만 명을 웃돌았지만, 12월 시간당 평균임금 상승률은 전년 대비 4.6% 상승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5.0%)와 전달치(4.8%)를 밑도는 수치다.
임금 상승세가 둔화하자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속도가 늦춰질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렸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3% 이상 내리며 103대에서 거래됐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