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기차 화재 잇따르는데 변변한 안전 대응 매뉴얼도 없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주말 서울 성동구에 있는 테슬라 서비스센터에 주차돼 있던 차량에서 불이 나 소방 인력 65명, 차량 27대가 출동해 약 3시간 만에 진화했다. 전기자동차 화재 우려가 커지면서 지하주차장 출입을 제한하고, 설치된 충전장치를 폐쇄하는 곳도 늘고 있다고 한다.
전국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는 지난해 9월 기준 34만여 대다. 2021년 대비 35% 증가했다. 이처럼 전기차가 늘면서 화재사고도 2020년 11건에서 2021년 23건으로 두 배로 뛰었다. 지난해에도 11월까지 36건을 기록했다. 전체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 대비 전기차 비중이 1.2%이고, 내연기관차 화재가 하루 평균 13건 이상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직 많은 수치로 보기 어렵지만 증가 추세가 예사롭지 않다.
무거운 차량을 움직이기 위해 높은 전압의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차 특성상 배터리, 배선, 충전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결함 등으로 인한 화재 위험이 상존한다. 전기차 한 대에는 수천 개의 배터리가 셀을 이뤄 탑재돼 있는데 셀 안에 불이 나면 옆에 있는 셀로 옮겨붙으며 열이 급속도로 오르는 ‘열폭주 현상’이 나타나 화재 진압이 힘들어지는 등 기존 내연기관차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도 전기차용 화재 진압 장비와 매뉴얼은 부실하기 짝이 없어 초기 대응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실적으로 전기차 전체를 이동용 수조에 담그거나 차체를 질식소화포로 덮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한계가 많다. 그나마 질식소화포 덮개와 이동식 수조는 전국에 각각 342개와 15개에 불과하다고 한다. 변변한 매뉴얼이 없는 탓에 불이 붙은 전기차에 일반 소화기를 분사하거나 물을 끼얹는 등 비효율적으로 대응해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전기차는 미완의 대기다. 고전원 배터리 자체의 안전과 품질을 높이고 BMS를 통한 이상 감지 기능을 강화해 발화 요인을 줄이는 기술적 처방이 최선이다. 화재 안전이 전기차 경쟁력의 관건이 되는 만큼 업계가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정부도 연구개발 지원으로 공동 대응해야 할 것이다. 섣부른 규제로 신기술 발전을 가로막는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우는 경계해야 한다.
전국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는 지난해 9월 기준 34만여 대다. 2021년 대비 35% 증가했다. 이처럼 전기차가 늘면서 화재사고도 2020년 11건에서 2021년 23건으로 두 배로 뛰었다. 지난해에도 11월까지 36건을 기록했다. 전체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 대비 전기차 비중이 1.2%이고, 내연기관차 화재가 하루 평균 13건 이상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직 많은 수치로 보기 어렵지만 증가 추세가 예사롭지 않다.
무거운 차량을 움직이기 위해 높은 전압의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차 특성상 배터리, 배선, 충전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결함 등으로 인한 화재 위험이 상존한다. 전기차 한 대에는 수천 개의 배터리가 셀을 이뤄 탑재돼 있는데 셀 안에 불이 나면 옆에 있는 셀로 옮겨붙으며 열이 급속도로 오르는 ‘열폭주 현상’이 나타나 화재 진압이 힘들어지는 등 기존 내연기관차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런데도 전기차용 화재 진압 장비와 매뉴얼은 부실하기 짝이 없어 초기 대응에 난항을 겪고 있다. 현실적으로 전기차 전체를 이동용 수조에 담그거나 차체를 질식소화포로 덮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한계가 많다. 그나마 질식소화포 덮개와 이동식 수조는 전국에 각각 342개와 15개에 불과하다고 한다. 변변한 매뉴얼이 없는 탓에 불이 붙은 전기차에 일반 소화기를 분사하거나 물을 끼얹는 등 비효율적으로 대응해 더 큰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전기차는 미완의 대기다. 고전원 배터리 자체의 안전과 품질을 높이고 BMS를 통한 이상 감지 기능을 강화해 발화 요인을 줄이는 기술적 처방이 최선이다. 화재 안전이 전기차 경쟁력의 관건이 되는 만큼 업계가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정부도 연구개발 지원으로 공동 대응해야 할 것이다. 섣부른 규제로 신기술 발전을 가로막는 교각살우(矯角殺牛)의 우는 경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