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70% "경기 반등, 내년 이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 현장점검
"가파른 회복세 어려울 것"
"가파른 회복세 어려울 것"
경제 전문가 10명 중 7명은 국내 경기가 내년 이후에나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적인 통화 긴축 기조가 올해 안에 완화되기 어려운 데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미·중 무역 갈등 등 악재가 단기간에 해소되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고물가도 여전해 경기가 반등해도 가파른 회복세를 보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한국경제신문이 9일 경제 전문가 58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경기 반등 시점을 묻자 46.6%가 내년 상반기를 꼽았다. 내년 하반기(19.0%)와 2025년 이후(8.6%)까지 포함하면 경기가 내년 이후에 반등할 것이라는 응답이 74.2%에 달했다. 올 하반기 반등을 예상한 전문가는 24.6%였고, 올 상반기는 1.7%에 불과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연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올해 상저하고(상반기 부진, 하반기 회복) 경기 흐름을 예상하지만 내년 미국의 긴축 기조 완화 이후에나 경기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반등 시 회복 강도는 응답자의 75.9%가 ‘완만한 반등’을 예상했다. 상당 기간 L자형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20.7%에 달했다. 강한 반등을 예상한 답변은 3.4%에 그쳤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등 주요 국가가 인플레이션 때문에 기준금리를 급격히 내리기 어렵고, 재정 투입을 통한 경기 부양에도 신중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5.2%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1.5% 미만으로 예측했다. 0.5~1% 미만(6.9%), 0~0.5% 미만(1.7%) 등을 포함해 1.5% 미만으로 보는 전문가가 63.8%였다. 정부와 한은 등의 전망치에 해당하는 1.5~2% 미만은 34.5%에 그쳤다. 염명배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성장률이 올해 1%를 넘을지도 불확실할 만큼 대외 여건이 좋지 않다”며 “호재를 찾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올해 대외적으로 가장 큰 위기 요인으론 응답자의 65.5%가 ‘미국 등 주요 국가의 통화 긴축’을 꼽았다. 이어 ‘반도체 경기 위축’(13.8%) ‘미·중 무역 갈등’(10.3%) ‘중국의 코로나19 봉쇄’(3.4%) ‘신흥국 외환위기’(1.7%) 순이었다. 김현욱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일부 신흥국에서 경제위기가 발생하고 달러 강세가 더 심해지면 한국 성장률이 0%대로 주저앉을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대내 위험 요인으론 ‘수출 부진’(36.2%)이 가장 많이 거론됐다. ‘가계부채’(27.6%) ‘부동산 버블 붕괴’(20.7%) ‘고용 악화’(5.2%) ‘소비 위축’(3.4%) ‘자금시장 불안’(3.4%)도 주요 위기 요인으로 꼽혔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3.5~4% 미만을 전망한 전문가가 55.2%로 가장 많았다. 3~3.5% 미만이 27.6%, 4% 이상은 13.8%였다. 정부는 3.5%, 한은은 3.6%로 전망하고 있다.
한은 물가목표치인 2% 달성 시기와 관련해선 내년으로 전망한 전문가가 60.3%로 과반이었다. 27.6%는 2025년을, 6.9%는 2026년 이후를 꼽았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둬야 할 정책으로 ‘노동개혁 등 구조개혁’을 1순위(51.7%)로 꼽았다. ‘경기 활성화’와 ‘물가 대응’이 각각 17.2%였고 ‘규제 완화’(8.6%) ‘부동산 경기 연착륙’(3.4%)이 뒤를 이었다.
■ 설문에 참여해주신 분들(가나다순)
△강병구 인하대 교수 △강성진 고려대 교수 △강태수 카이스트 금융전문대학원 초빙교수 △권남훈 건국대 교수 △김경수 성균관대 명예교수 △김도형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 △김동헌 고려대 교수 △김상봉 한성대 교수 △김승혁 NH선물 애널리스트 △김용춘 전국경제인연합회 고용정책팀장 △김정식 연세대 교수 △김종옥 국회입법조사처 경제산업조사실장 △김지섭 연세대 부교수 △김태윤 한양대 교수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현욱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류장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원장 △문홍철 DB금융투자 채권전략 파트장 △박명호 홍익대 교수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박주헌 동덕여대 교수 △백석현 신한은행 S&T센터 이코노미스트 △서정훈 하나은행 연구원 △손재영 건국대 교수 △송치영 국민대 교수 △양준모 연세대 교수 △염명배 충남대 교수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 △유정주 전경련 기업정책팀장 △윤덕룡 KDI 연구위원 △윤여삼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 △이근 서울대 교수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 △이용환 한반도선진화재단 사무총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원장 △이종화 고려대 교수 △이준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 △전삼현 숭실대 교수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 △정도진 중앙대 교수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조덕상 KDI 연구위원 △조동근 명지대 명예교수 △조의윤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 △조장옥 서강대 명예교수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준경 한양대 교수 △홍기용 인천대 교수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황윤재 서울대 석좌교수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
한국경제신문이 9일 경제 전문가 58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경기 반등 시점을 묻자 46.6%가 내년 상반기를 꼽았다. 내년 하반기(19.0%)와 2025년 이후(8.6%)까지 포함하면 경기가 내년 이후에 반등할 것이라는 응답이 74.2%에 달했다. 올 하반기 반등을 예상한 전문가는 24.6%였고, 올 상반기는 1.7%에 불과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중앙은행(Fed)이 연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올해 상저하고(상반기 부진, 하반기 회복) 경기 흐름을 예상하지만 내년 미국의 긴축 기조 완화 이후에나 경기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반등 시 회복 강도는 응답자의 75.9%가 ‘완만한 반등’을 예상했다. 상당 기간 L자형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20.7%에 달했다. 강한 반등을 예상한 답변은 3.4%에 그쳤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부 교수는 “미국 등 주요 국가가 인플레이션 때문에 기준금리를 급격히 내리기 어렵고, 재정 투입을 통한 경기 부양에도 신중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전문가 10명 중 6명 "올 성장률 1.5% 미만"
경제전문가 10명 중 6명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5%보다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1.6%) 한국은행(1.7%) 한국개발연구원(KDI·1.8%)보다 부정적으로 본 것이다.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5.2%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1.5% 미만으로 예측했다. 0.5~1% 미만(6.9%), 0~0.5% 미만(1.7%) 등을 포함해 1.5% 미만으로 보는 전문가가 63.8%였다. 정부와 한은 등의 전망치에 해당하는 1.5~2% 미만은 34.5%에 그쳤다. 염명배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미국 성장률이 올해 1%를 넘을지도 불확실할 만큼 대외 여건이 좋지 않다”며 “호재를 찾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올해 대외적으로 가장 큰 위기 요인으론 응답자의 65.5%가 ‘미국 등 주요 국가의 통화 긴축’을 꼽았다. 이어 ‘반도체 경기 위축’(13.8%) ‘미·중 무역 갈등’(10.3%) ‘중국의 코로나19 봉쇄’(3.4%) ‘신흥국 외환위기’(1.7%) 순이었다. 김현욱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일부 신흥국에서 경제위기가 발생하고 달러 강세가 더 심해지면 한국 성장률이 0%대로 주저앉을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올해 대내 위험 요인으론 ‘수출 부진’(36.2%)이 가장 많이 거론됐다. ‘가계부채’(27.6%) ‘부동산 버블 붕괴’(20.7%) ‘고용 악화’(5.2%) ‘소비 위축’(3.4%) ‘자금시장 불안’(3.4%)도 주요 위기 요인으로 꼽혔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3.5~4% 미만을 전망한 전문가가 55.2%로 가장 많았다. 3~3.5% 미만이 27.6%, 4% 이상은 13.8%였다. 정부는 3.5%, 한은은 3.6%로 전망하고 있다.
한은 물가목표치인 2% 달성 시기와 관련해선 내년으로 전망한 전문가가 60.3%로 과반이었다. 27.6%는 2025년을, 6.9%는 2026년 이후를 꼽았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둬야 할 정책으로 ‘노동개혁 등 구조개혁’을 1순위(51.7%)로 꼽았다. ‘경기 활성화’와 ‘물가 대응’이 각각 17.2%였고 ‘규제 완화’(8.6%) ‘부동산 경기 연착륙’(3.4%)이 뒤를 이었다.
■ 설문에 참여해주신 분들(가나다순)
△강병구 인하대 교수 △강성진 고려대 교수 △강태수 카이스트 금융전문대학원 초빙교수 △권남훈 건국대 교수 △김경수 성균관대 명예교수 △김도형 한반도선진화재단 정책위원 △김동헌 고려대 교수 △김상봉 한성대 교수 △김승혁 NH선물 애널리스트 △김용춘 전국경제인연합회 고용정책팀장 △김정식 연세대 교수 △김종옥 국회입법조사처 경제산업조사실장 △김지섭 연세대 부교수 △김태윤 한양대 교수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김현욱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 △류장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원장 △문홍철 DB금융투자 채권전략 파트장 △박명호 홍익대 교수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 △박주헌 동덕여대 교수 △백석현 신한은행 S&T센터 이코노미스트 △서정훈 하나은행 연구원 △손재영 건국대 교수 △송치영 국민대 교수 △양준모 연세대 교수 △염명배 충남대 교수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 회장 △유정주 전경련 기업정책팀장 △윤덕룡 KDI 연구위원 △윤여삼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 △이근 서울대 교수 △이다은 대신증권 연구원 △이용환 한반도선진화재단 사무총장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원장 △이종화 고려대 교수 △이준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 △전삼현 숭실대 교수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 △정도진 중앙대 교수 △정유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조덕상 KDI 연구위원 △조동근 명지대 명예교수 △조의윤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 △조장옥 서강대 명예교수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최준선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준경 한양대 교수 △홍기용 인천대 교수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황윤재 서울대 석좌교수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