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투자했는데…"수익률이 왜 이래?" 신흥국 ETF의 함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브라질에서 대선에 패배한 전임 대통령 지지자들이 지난 8일(현지시간) 의회, 대법원, 대통령궁에 난입하는 초유의 폭동이 발생하면서 '신흥국 투자 리스크'가 또 다시 부각됐다. 남미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는 새해 첫주 평균 4.0% 상승했지만 정치적 불안정성이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증권업계는 "투자 포트폴리오에 선진국까지 포함해야 이런 위험을 덜 수 있다"고 조언했다.
10일 KB증권에 따르면 신흥국 전반에 분산 투자하는 ETF의 장기 수익률은 세계 주식을 고루 담는 ETF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신흥국 ETF인 '뱅가드 FTSE 이머징마켓 ETF'(종목코드 VWO)의 10년 수익률은 1.86%, 5년 수익률은 -0.13%를 기록했다. 글로벌 주식 ETF인 '아이셰어스 MSCI ACWI ETF'(ACWI)는 같은 기간 각각 8.12%, 5.28%의 수익률을 올렸다.

KB증권은 브라질 폭동을 계기로 신흥국 ETF에서 자금 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신흥국 ETF의 최근 90일 표준편차는 26.3%로 북미(14.4%), 유럽(19.7%), 아시아(17.7%), 중동(15.9%) 등보다 높은 상태다. 정 연구원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주가 하락을 진입 기회로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시위대에 대통령 관저와 국회가 점령당한 국가에 자금을 유치하고 싶은 투자자는 드물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