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칼럼] 30대 신부(新婦)
세자는 세자빈을 끔찍이 사랑했다. 그런데 불행히도 세자빈이 목을 매 자결했다. 세자는 왕이 된 후에도 그녀를 잊지 못해 왕비를 들이지 않았다. 그러기를 7년. 왕비 간택이 미뤄지면서 민심이 흉흉해졌다. 왕이 고자나 동성애자라는 해괴한 소문까지 돌았다. 더 큰 문제는 왕비 간택을 위한 금혼령(禁婚令)이 길어지면서 적령기를 놓친 청춘남녀가 늘고 있다는 것. 갓난아기 울음소리도 사라졌다. 현재 방영 중인 MBC 금토드라마 ‘금혼령-조선혼인금지령’의 도입부 스토리다.

조선시대에는 스무 살이 넘어도 결혼하지 않으면 이상하게 여겼다고 한다.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에는 나이가 13세면 혼사를 의논할 수 있고 남자는 15세, 여자 14세면 혼인을 허락한다고 했다. 유교 예절을 담은 <주자가례>를 기준으로 남자는 16~30세, 여자는 14~20세를 혼인 적령기로 여겼다. 고려 말에 시작된 조혼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너무 일찍 결혼시키는 것은 금했다. 나이가 찼는데도 자녀를 결혼시키지 않으면 부모를 벌하는 규정도 있었다. 대신 형편이 어려워 결혼하지 못하는 경우 나라에서 혼례 비용을 보태줬다.

예나 지금이나 결혼과 출산은 사회를 유지·전승하는 기본 토대다. 과년한 남녀가 짝을 이루지 못하는 것은 개인적 불행일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문제임을 조선시대에도 인식하고 있었던 것이다. 초저출산 해결이 시급한 국가적 과제가 된 가운데 갈수록 초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30대 신부가 20대 신부를 추월했다. 1960년 남자 25.4세·여자 21.6세였던 평균 초혼 연령은 1991년 남자 27.9세·여자 24.8세, 2021년 남자 33.4세·여자 31.1세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초혼 아내 15만7000명 중 30대가 7만6900명(49.1%)으로 20대(7만1263명)를 처음으로 추월했다.

평균수명 연장, 일하는 여성의 증가,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 등으로 결혼 적령기가 달라질 수는 있다. 하지만 만혼(晩婚) 증가가 저출산을 심화한다는 점에서 걱정스럽다. 2021년 여성의 첫 출산 연령은 32.6세로 전년도보다 0.3세 많아졌다. 20년 전보다 4.6세, 10년 전보다 2.3세 늦어졌다. 결혼애국, 출산보국의 시대다.

서화동 논설위원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