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회사채·CP 금리 하락세…금융시장 개선세 확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시장 현황 점검 회의 개최
"시장 선제 준비해야…새로운 리스크 발현에도 유의"
"시장 선제 준비해야…새로운 리스크 발현에도 유의"
금융당국이 최근 회사채와 기업어음(CP) 금리가 계속 내려가는 등 금융 시장 개선세가 확연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금융위원회는 12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 현황 점검 회의를 개최하며 이같이 밝혔다.
금융당국 및 정책금융기관 참석자들은 특히 우량물 중심으로 매입수요가 발행규모를 넘어서는 등 시장 개선세가 확연해지고 있는 점을 주목했다.
이에 시장 안정세를 보다 확고히하기 위해 시장안정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집행을 지속하기로 했다. 비우량 회사채·CP까지 안정세가 확산될 수 있도록 우량물 개선효과를 보다 촉진하고, 비우량물 지원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은 것이다.
현재 운영중인 시장안정프로그램은 총 40조원 이상의 충분한 지원여력을 보유하고 있는만큼 향후에도 적극적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현재 채권시장안정펀드는 6조4000억원,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의 회사채 및 CP 매입프로그램은 7조6000억원의 지원 여력을 갖고 있으며 지원 대상 확대 등도 검토할 방침이다.
회사채 발행을 지원하는 신용보증기금의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은 확대 개편해 5조원을 신규 공급하고, 공급 대상도 일반기업의 경우 BB- 이상, 여전사는 BBB-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증권사와 건설사를 보증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도 각각 1조3000억원과 9000억원의 지원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 브릿지론의 본 PF 전환을 지원하는 사업자 보증과 함께 단기 PF-ABCP를 장기 대출로 전환하는 사업자 보증도 이달 중 신설해 정상 사업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위기 상황에 대비한 금융권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도 공유했는데, 현재는 위기 시에도 개별사의 문제가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 부위원장은 "시장 불안이 재확산될 경우를 대비해 선제 준비를 해나가야 한다"며 "올해는 실물 리스크의 금융 전이, 해외발 리스크의 확대 등 새로운 리스크의 발현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
금융위원회는 12일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시장 현황 점검 회의를 개최하며 이같이 밝혔다.
금융당국 및 정책금융기관 참석자들은 특히 우량물 중심으로 매입수요가 발행규모를 넘어서는 등 시장 개선세가 확연해지고 있는 점을 주목했다.
이에 시장 안정세를 보다 확고히하기 위해 시장안정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집행을 지속하기로 했다. 비우량 회사채·CP까지 안정세가 확산될 수 있도록 우량물 개선효과를 보다 촉진하고, 비우량물 지원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은 것이다.
현재 운영중인 시장안정프로그램은 총 40조원 이상의 충분한 지원여력을 보유하고 있는만큼 향후에도 적극적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현재 채권시장안정펀드는 6조4000억원,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의 회사채 및 CP 매입프로그램은 7조6000억원의 지원 여력을 갖고 있으며 지원 대상 확대 등도 검토할 방침이다.
회사채 발행을 지원하는 신용보증기금의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은 확대 개편해 5조원을 신규 공급하고, 공급 대상도 일반기업의 경우 BB- 이상, 여전사는 BBB-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증권사와 건설사를 보증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도 각각 1조3000억원과 9000억원의 지원 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어 브릿지론의 본 PF 전환을 지원하는 사업자 보증과 함께 단기 PF-ABCP를 장기 대출로 전환하는 사업자 보증도 이달 중 신설해 정상 사업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위기 상황에 대비한 금융권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도 공유했는데, 현재는 위기 시에도 개별사의 문제가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김 부위원장은 "시장 불안이 재확산될 경우를 대비해 선제 준비를 해나가야 한다"며 "올해는 실물 리스크의 금융 전이, 해외발 리스크의 확대 등 새로운 리스크의 발현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