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닥쳐온 신재생 '포화'…2036년 태양·풍력 발전 16% 출력제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3조~4조원 어치 전력 손실
백업설비 투자엔 최대 45조원
백업설비 투자엔 최대 45조원
![사진=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2301/01.32356048.1.jpg)
12일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실이 전력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36년 봄철 일평균 발전원별 발전량 전망'에 따르면 2036년 4월 기준 평일 태양광·풍력 출력제어율은 16%에 달할 전망이다.
출력제어란 태양광과 풍력 발전량이 많아지는 낮에 송·배전망이 이를 다 수용하지 못해 발전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출력제어율은 출력제어로 인해 제한된 전력 생산량을 출력제어 전 전체 풍력과 태양광 생산 전력으로 나눈 것이다. 전력거래소는 2036년 태양광과 풍력의 비중이 52대 48로 비슷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이같이 계산했다. 장주기 저장장치(ESS) 용량은 22.6GW(방전시간 6시간)로 반영했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가 국회에 보고해 전력정책심의회를 통해 확정한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22~2036)에 따르면 2036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4.4TWh, 비중은 30.6%에 달한다. 태양광과 풍력 출력 제어 전에는 신재생 발전량 비중이 33.0%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약 20TWh 이상의 출력제어량이 발생한다.
지난달 기준 태양광 정산단가 163.4원/kWh, 풍력 168.8원/kWh를 적용해 계산할 경우 3조~4조원어치에 달하는 전력이 출력제어 된다는 의미다. 2036년의 태양광·풍력 정산단가가 현재 수준보다 높아질 경우 손실 비용은 이보다 늘어날 수 있다.
산업부는 출력제어를 완화하기 위해 최대 45조원의 백업설비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날 10차 전기본에는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과 출력제어 완화 등을 위한 백업 설비 26.3GW 확보를 위해 2036년까지 약 29조~45조원의 신규 투자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는 이와 함께 대규모 전력망 투자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산업부는 "원전, 재생에너지 등 확대되는 발전설비를 전력 계통에 제때 수용하기 위하여 대규모 전력망 투자가 필요하다"며 "동해안 지역 원전 신규 건설(신한울 3‧4호기) 및 계속 운전(신한울 1‧2호기) 등을 적기에 수용하기 위한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하는 한편, 이미 계획된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 지연에 대비하고 유연 송전설비 등을 활용한 동해안 지역 발전제약 완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호남권을 중심으로 보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는 재생에너지 생산 전력을 타지역으로 수송하기 위한 지역 간 융통선로 건설도 추진한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력망 투자 세부 내용은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이후 수립되는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김소현 기자 alpha@hankyung.com